이번 대선의 방향성을 가늠할 수 있는 의미있는 기사가 어제 한겨레신문에 실렸다.
(참조 http://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224148.html)
그중 가장 눈이 간 대목은...아래 표와 같다.
범여권 단일후보 선택의 기준(%) |
1항. 개혁적이고 진보적인 정책노선의 후보 .....36% 2항. 중도적이고 안정적인 정책노선의 후보 .....36% 3항. 한나라당 후보에 맞설 경쟁력을 가진 후보 .....11.2% 4항. 노무현 대통령의 노선을 계승할 수 있는 후보 .....4.3% (번호는 편의적으로 넣었음) |
위 결과는 1항과 2항이 동률로 나옴으로서 팽팽하게 범개혁진영의 표심이 양분된 것으로 드러났다. 3항은 1과 2의 다툼에서 승리하는 쪽에 수렴될 것으로 예상되며, 4항의 친노진영의 흐름은 4.3%에 불과, 대세는 커녕, 초라하게 대통합에 꼽사리나 끼게 될 운명임을 보여준다.
1.
이는 향후 탄생될 통합신당의 노선과 정책, 그리고 후보경선에 있어 핵심적 쟁점으로 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열린우리당이 실패한 주요한 요인인 잡탕론‘은 이러한 유권자의 이중적 성향을 각 정파가 아전인수식으로 해석한 결과다.
중도를 표방하는 정당에서 잡탕(초록이님 표현에 의하면 다양성)은 필연적이기까지 하다. 문제는 잡탕적 결합 속에서 어떻게 개혁적 정체성을 당의 주노선으로 이끌어내느냐 이며, 그 과정에서 민주적 의사결정을 통해 분열없이(소외없이) 개혁적 리더쉽을 관철시킬 수 있느냐가 핵심으로 된다.
나는 지금도 열린우리당 실패의 주원인은 진영의 구분없이 진성당원제에 매몰된 일부 세력(특히 참정연)의 소아병적 갈라치기(종파주의)때문이라 본다.(지금 참정연이 하는 얘기를 당시로 되돌리면 유시민 김형주 등등 한놈도 살아남지 못한다)
이에 대한 재발방지를 위한 근원적인 해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범개혁 진영 유권자의 무기력과 지리멸렬을 뛰어넘어 단일대오를 형성하지 못하는 한, 이번 대선은 없다.
결국 이번 대선 역시 (1)항의 개혁지지 유권자의 열망을 부여안고 이들의 적극적 결합에 의한 대통합신당 내 개혁구심, 개혁정책의 발현을 통해 승리를 이끌어내야 한다. (2)항 지지자는 기본적으로 산개된 집단으로 구심형성을 할 수 없다. 이들은 결국 단일한 (1)의 흐름이 형성한다면 무난하게 합류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그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분열없이 (1)이 주도권을 쥐고 (2)가 엄호하는 모양이 가장 이상적이다.
2.
그러나 2항을 향해 범여권(?) 유력후보의 지향은 모아지고 있다. 손학규를 정점으로 정동영, 그리고 이해찬이라는 Big3 역시, 모두 제2항에 다가가기 위한 처절한 몸부림에 여념이 없다. 마치 열린우리당이 무슨 개혁이나 하다가 침몰한듯이... 이러한 잘못된 진단의 결과로서, 확인사망의 길을 향해 가는 줄도 모르고 패거리를 모으는데 급급하는게 이쪽의 대체적인 판세다.
오늘 친노그룹 중 이해찬 진영의 일부가 탈당하고 대통합에 참여한 이유는 바로 (4)항의 4.3%의 한계를 인식한 결과로 보여진다. 그러나 이해찬 진영은 노통계승을 포기하지 않음으로서 (2)항의 진로를 택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결국 손학규, 정동영에 이어 대통합 내 (2)항 후보만 하나 더 늘어나는 셈이다.
3.
차라리 김두관 신기남이 개혁진보성향의 유권자를 겨냥한 행보를 하고 있다. 신기남, 김두관 등 친노후보의 한계는 절대 4항의 범위를 벗어나지 못한다는 점에서 지지율의 정체현상을 이해할 수 있지만, 이미 친노의 울타리를 뛰어넘어 1항을 견인할 유일한 후보인 천정배의 1% 지지율 고착을 어떻게 봐야 할까.
천정배는 이미 민주당지지자와 노빠의 공적으로 자리잡았다. 민주당 너와바리와 노빠 너와바리를 모두 발로 차버리고 제3지대 대통합의 숨통을 틔웠기 때문이다. 여전히 그들에게 천정배는 분당의 원흉이며 탈당한 기회주의자이다.
과연 천정배는 이들의 틈바구니에서 제3지대에 숨죽이며 지켜보고 있는 (1)항의 지지자를 결집시켜 내고 의미있는 지지율 반등을 이룰 수 있을까. (절대적으로 부족한 시간이 가장 큰 문제다) 개혁성향의 제3지대 유권자들은 절대 어리석지 않다. 천정배의 행보가 쑈가 아닌 진정성있는 일관된 길이라면 반드시 개혁후보로 유일한 대안으로 비상할 수 있을 것이다. 아니 그렇게 만들어야 한다.
4.
이리저리 혼미를 거듭하던 제3지대 신당이 서서히 실체를 드러냄으로서, 향후 범개혁진영의 중심축은 완성태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열린우리당 정세균 지도부는 대통합신당과 흡수통합의 형식을 빌어 열린우리당 프리미엄을 그대로 이전시킬 모양이다. 비례대표 의원과 국고보조금의 안정적 이전을 위해서...
민주 우리사수파들이 호락호락하게 양보하지도 않겠지만 일부 정치인들이 살기 위해서 반성(책임주체)의 실체가 사라지고, 짝퉁 열린우리당의 분열적 퇴행을 신당에서 다시 반복하겠다는 것은 모두가 공멸하자는 얘기다.
5.
마침내 대통합신당은 문을 열어둔 채 출발했다.(개문발차) 남은 자들에 대한 관심은 이젠 거두자. 이미 정치지형은 대통합신당내에서 (1)항의 개혁지지층을 결집할 정책과 비전의 쟁취 를 위한 총력투쟁이 요구되는 시점으로 변화되었다.
양극단의 사수파들은 개혁지지층의 압도적으로 결집된 힘으로 찌글어뜨려야 한다. 그들이 조건없이 승차하게 해달라고 애걸복걸하게 만들어야 한다. 마니 늦었다. 민생개혁 블록이 대통합신당의 개혁적 정책노선을 리드하며 희망의 나래를 펼치게 만들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그동안의 통합논의는 쑈로 끝나게 된다.
예정된 패배, 대자멸의 예정된 길로 나갈 것인가, 아니면 대반전의 길, 승리의 오직 한길로 나아갈 것인가. 개혁적이고 진보적인 정책노선의 후보 를 지지하는 나와 우리 그리고 당신의 무기력을 깨우는 자에게 승리의 광영이 있다.^^
by 확대경 in 포플 (http://www.4ple.co.kr )
한겨레 신문 여론조사 분석 <-- 익명으로 자유롭게 토론이 가능한곳.. 정치인 배제.. 서민중심주의
'이슈앤 > 여론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론조사, PK 후보론.. 김혁규를 띄우려하는가? (9) | 2007.07.26 |
---|---|
여론조사, PK 후보론.. 김혁규를 띄우려하는가? (9) | 2007.07.26 |
광주지역 민심탐방기 (12) | 2007.07.24 |
한겨레 신문 여론조사 분석 (8) | 2007.07.24 |
광주지역 민심탐방기 (12) | 2007.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