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거세 유언비 하반부
드라마 선덕여왕에서는 눌지가 반란을 일으키는 와중 실성이 궁성에서 혁거세의 유언비를 가지고 도망을 치다가 비(碑)가 절벽 아래로 떨어졌지만, 앞부분만이 발견되어 전해지고, 뒷부분은 200년 동안 발견되지 않았다고 한다.
이에 덕만은 좋게 말해서 '꾀'를 내고, 나쁘게 말해서는 '비문조작'을 통해서 자신이 <개양자>라고 선언한다. 그 후 덕만은 공주의 신분을 회복하고 미실과 본격적인 정치력 대결을 벌린다. 2009년 발견된 문무왕비 상단부 경주 사천왕사터 (야산이 낭산이고 정상에 선덕왕릉이 있다)
그런데 재미있게도, 드라마 선덕여왕이 예언이라도 한것처럼 조선 후기 정조 1796년에 발견되었다, 다시 사라져 발견되지 않던 문무왕비문이 2009년 드라마 선덕여왕처럼 <200여년> 만에 발견되었다.
문무왕비는 1796년 발견될 무렵 탁본이 되어 청나라 <해동비고>에 실려 내용은 이미 알고 있었다. 하지만, 해독을 할 수 없는 부분이 몇군데 있는데 현대의 과학기술로는 탁본으로 읽히지 않는 부분까지 읽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역사학계는 흥분하고 있다.
문무왕비의 탁본에 의하면 김씨계의 출자를 기록하고 있는데 김씨 조상을 "제천금(김)인인 흉노의 휴(포)도왕인 김일제로 본다"는 것이다.
하지만 법흥의 이름은 원종이고 책부원귀(구)에 하면 성은 <모>이고 이름은 <태,진>라고 기술 되어 있다.
자신들의 출자를 김일제와 연결한 때는 법흥왕 이후 시기가 아닐까 한다. 김씨의 <김진평>이 최초 기록이다.
어찌되었던, 문문왕비 발견된 곳도 공교롭게도 수돗가와 우물(나정)이라는 물이 있는곳이란 공통점이 있다. 또한, 문무왕비가 세워진 곳은 선덕여왕이 죽으면서 자신을 묻어 달라는 낭산의 아래인 사천왕사이다. 도리천은 불국을 수호하는 사천왕이 사는 곳의 위에 있다
덕만의 어머니는 마야인데, 마야는 불교에서는 석가모니의 어머니이다. 도리천(수미산)은 제석천인 불타가 사는 곳이다.
그래서 덕만은 수미산인 도리천에 자신을 묻어 달라도 한것이다. 그러니 덕만은 죽어서도 부처가 된다는 뜻이다. 살아 생전에도 덕만은 부처가 되고 싶어했고, 당시에 왕즉불인 부처이며, 제석천이였다. 죽어서도 수미산에 묻혀 불타가 된것이다.
사천왕사 문무왕비 귀부
신라의 왕들은 불교를 수입하고 끊임없이 자신들의 자식들에게 불교 관련 이름들을 만들어 준다. 금륜, 동륜, 은륜, 구륜, 용수, 용춘, 마야, 비담, 승만, 덕만, 시호도 법흥, 진흥, 진지, 진평, 선덕, 진덕 등 이다. 불교를 공인한 법흥이전 자비, 소지도 불교적인 냄새가 심히 난다. 불교를 수입한 나라치고 신라만큼 불교에 심취한 나라도 없다.
신라의 통치수단으로 불교를 선택하였다는 뜻이다. "늦게 배운 도둑이 밤새는 줄 모른다"는 건 신라를 두고 말하는 것이 아닐까?
'역사IN드라마 > 선덕여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덕여왕', 당.일본 떨게한 신라 비밀병기? (150) | 2009.09.05 |
---|---|
드라마 선덕여왕, 문무왕비 발견을 예견하다? (23) | 2009.09.04 |
드라마 선덕여왕, 문무왕비 발견을 예견하다? (23) | 2009.09.04 |
경주 첨성대는 선덕여왕 2년에 세워졌다. - 세종실록 지리지 경주편 (38) | 2009.09.03 |
경주 첨성대는 선덕여왕 2년에 세워졌다. - 세종실록 지리지 경주편 (38) | 2009.09.03 |
덕만은 첨성대로 신권을 버렸을까? 사실은 (57) | 2009.09.02 |
좋은 지식을 얻어 갑니다.
행복하고 건강한 하루되세요 ^^
바람님도 좋은 날 보내셈..
ㅋㅋ. 저도 어제 뉴스를 보면서 갑자기 '선덕여왕'이 떠올랐답니다. ^^
많은 사람이 그렇게 생각했을 것 같습니다.. ^__^
그런데 여전히 글은 많이 읽는데.. 이놈이 무슨 글을 쓰나하고 보기는 하는데 추천은 안하는 군요.. ㅠ.ㅠ.;;;
비밀댓글입니다
저는상관없습니당. 악플이 많이 달리면 더 좋던뎅..ㅋㅋ;;
좋은 글 잘 읽고 갑니다 ^^
아이러니님 ㄳ합니당.. ^__^
반만 읽고 나중에 ㅎㅎ
좋은 잘 보고 갑니다.
고맙습니다.
다시 보고 갑니다.
얼마남질 않았더군요 ㅎㅎㅎ
좋은 하루 되세요.
냅.. 그러게용..
정말 대단한 발견이군요...
신라는 정말 불교국가였군요.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냅.. 완전히 불교국예용.. 그것도 골수로..ㅋㅋ
벌서 들판엔 황금들녁이군요. 멋진사진 고마워요..
그러게요.. 어느덧 가을이 되어버렸습니당.. ㅠ.ㅠ.
신기하네요 ^^ 정말 예견이라도 한 것인지...
오늘도 건강한 정보 감사합니다.
저도 신기하더군요.. 요즘.. 많은 비들이 발견되기는 합니당..
주말에 선덕여왕이나 다운받아 쭉 봐야겠습니다. ^^;;;
아주 잼있답니당.. ㅋㅋ
하지만 성골이라는 말을 처음 쓴 것은 진평왕입니다. 진흥왕 이후 왕권이 강화되는 추세에서 자신감이 바탕이 된 것이 아닌가 합니다. 그러니 200년 전 눌지마립간이 '성골남진...'하는 비문을 남겼다는 건 드라마적 환타지일 뿐 전혀 사실과 부합하지 않습니다. 이 드라마의 작가도 삼국사기에 '성골남진하여 김춘추(진골)이 왕이 되었다'는 구절에서 모티브를 얻었다고 밝혔습니다. 아시겠지만 삼국사기는 고려 12세기에 작성되었습니다. 드라마는 드라마일 뿐이죠. 너무 끌어대신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성골이란 말을 처음 쓴 사람은.. 고려인입니다.
삼국사기를 읽어보심 압니다..
성골진골 구분이 없다고 보는 입장이니.. 괘념치 마시길 바랍니다. 또한, 드라마와 사극과 역사를 혼돈하지도 않습니다.. 다른 글도 읽어 보시길 바랍니다.. ^____^
ㅎㅎㅎ 늦게 배운 도둑...^^
재밌게 잘 보고 갑니다. 주말 즐겁게 화이팅 하세요~
골든님 말씀이 맞아요. 어떻게 알았냐는 거지요.. 저의 질문은.. 그래서 제가 보종은 설원랑을 닮아서 너무나 눈설미가 있는건가라고 반문을 하잖아요.. 글의 행간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