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앤/이슈

김연아를 죽이려는 SBS, 독점중계 폐해


동계올림픽을 독점 중계를 하고 있는 SBS가 여론의 물매를 맞고 있다. 이유는 독점중계의 폐해를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많은 사람들이 독점중계를 하면 채널 선택권에 피해를 준다고 이야기를 하지만 사실, 독점중계가 좋은 점이 많이 있다. 특히 채널선택권을 시청자에게 보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진정한 채널선택권이란 똑같은 프로그램을 공중파방송국에서 24시간 무한 반복해서 보지 않을 권리를 말하는 것이 채널선택권이 된다. 같은 프로그램을 같은 시간대에 똑같이 보여준다면 이는 채널선택권을 방해하는 것이다.

문제는 채널 선택권에서도 몇가지가 존재하고 있다는 것이다. 같은 스포츠프로그램을 보더라도 공히 같은 화면을 본다면 의미가 사라진다. 그래서 방송사 별로 별도의 화면을 제작하여 송출하는 경우가 있다.

이번 밴쿠버 동계올림픽에서 SBS는 자사의 방송진를 밴쿠버에 보내 자체적으로 제작한 화면을 세계의 통일된 화면과 더불어 송출하여 독점적인 폐해를 방지하려는 노력을 한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하지만 문제는 독점적으로 방송하였다면 그에 걸맞은 준비를 하였어야 한댜. 하지만, SBS의 준비부족으로 인해서 SBS는 독점적인 방송에 대해서 반대하는 여론를 극대화 시키게 하였다. 한마디로 독점적방송의 잇점을 살리지 못하고, 스스로 독점적 방송의 폐해만 부각시켰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스피드 스케이팅에서 수준낮은 캐스터와 수준낮은 해설자인 제갈성렬의 방송사고 수준의 막말과 가장 기본적인 스케이팅에 관한 룰를 인지하지 못하고 방송하고 이를 해명하는 과정에서 거짓말까지 하였다.


하지만, 그나마 SBS는 피겨스케이팅만 그동안 꾸준히 독점적인 방송을 하였던 관계로 화질은 별도로 하고, 캐스터와 해설자인 방상아가 타 방송사 보다 높은 수준의 중계를 해주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이번 동계올림픽에서는 피겨스케이팅이 끝나고 SBS는 <김연아 트리플러브> 특집 방송를 하면서 캐스터가 수준낮은 질문을 하였다. 어릴적부터 김연아의 롤모델은 사샤코헨과 미셀콴이였다. 사실 카타리나 비트를 비롯한 많은 선배 스케이터들이 김연아의 롤모델이였을 것이다. 어찌되었던 그동안 언론에서는 미셀콴과 김연아를 엮어서 여론조성을 하고 있었다.

미셀콴은 이미 레전드에 해당하는 사람이다. 그런데 김연아에게 "어릴적 우상인 미셀 콴 선수보다 내가(김연아) 더 잘하는 것 같다?"라는 초딩스런 질문을 하였다. 자신이 존경하는 선배를 대상으로 자신과 누가 잘한다고 생각하냐고 묻는건 실제로 김연아가 역대 최고의 피겨스케이터라고 하더라도 이미 피겨스케이팅에 지대한 공을 세운 레전드 미셀콴에 대한 예의가 아닐뿐만 아니고 김연아에게도 예의가 아니다.

한마디로 엄마가 좋아 아빠가 좋아라고 물어보는 것과 같기 때문이다.  다행히 김연아는 "현대의 피겨와 당대의 피겨는 룰도 다르다 그러니 이를 나눌수는 없다. 시간이 가면서 피겨스케이팅은 발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비교할 수 없다"는 류의 가장 정답에 가까운 우문현답를 하였다. 사실 기존에 있던 피겨스케이팅를 바탕으로 김연아가 나오게 된것이고, 앞으로 김연아를 전환점으로 또다시 발전할 것이기 때문이다. 


미셀콴도 "동계 올림픽 초기 3대회 연속 우승하고 세계선수권 대회를 10회나 우승한 소냐 헤니의 기술은 요즘 8세의 어린이도 다 하는 기술이라고 했지만 소냐 헤니의 역사와 창조성은 기억되어야 한다"고 이야기를 했고, 80년 동계 올림픽 우승자인 로빈 커즌스 같은 경우 "자신에게 역대 최고의 피겨스케이터가 누구냐고 물어본다면 자닛린, 도로시 해밀턴, 카타리나 비트 그리고 김연아라고 말할 것"이라고 이야기를 했다.

이미 전세계 피겨스케이팅 레전드들 스스로 김연아를 역대 베스트 중에 베스트로 인정하고 있는 상황에서 전대의 레전드와 싸움을 시키는듯한 말을 당사자에게 하게 된다면 정치적으로 미래 세계 피겨스케이팅계를 이끌어가야할 김연아에게 중대한 문제를 만들뿐만 아니라 인간적으로 죽이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프랑스의 레몽드는 김연아를 "현명하고 겸손하다"고 이야기 한다. 그런데 보호해도 시원찮을 판에 오히려 김연아를 죽이려는 듯한 질문을 하고 유도하는 하는 행위는 우리나라 기자들의 수준을 낮출뿐만 아니고 몇가지 예를 들지 않아도 SBS가 시방새라고 불리울 수 밖에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관련기사
2010/06/12 - [이슈] - 월드컵만이 전부 아니다. 독점중계 찬성하는데 SBS 비판하는 이유
2010/06/10 - [TV&ETC] - 김연아 악성댓글 돈연아를 유포한 주범은 네티즌?
2010/06/11 - [스포츠] - 김연아에게 아사다 마오는 라이벌이긴 할까?
2010/06/09 - [스포츠] - 김연아에 배신당한 ISU 심판들?
2010/06/07 - [스포츠] - 김문수도 낚어 버린 발기자 - 김연아 트리플 악셀 도정?
2010/06/07 - [이슈] - 김연아가 현대카드 아이스쇼에 나오지 않는 이유
2010/06/02 - [이슈] - 김연아 박미희 모녀는 욕심쟁이?
2010/05/28 - [이슈] - 김연아 향한 개소리도 기사화 하는 발기자들
2010/04/30 - [이슈] - 김연아, IB에 투자? 앵벌이? 노예계약?
2010/04/28 - [이슈] - 김연아 고대가 낳고, IB 스포츠가 키웠다?
2010/04/16 - [이슈] - 김연아 기생하는자 VS 김연아 지키는자
2010/04/05 - [이슈] - 김연아 은퇴종용 한국언론들의 진의가 궁금하다
2010/03/31 - [스포츠] - 김연아 심판과 일본의 견제가 소설이라고?
2010/03/03 - [이슈] - 김연아 광고찍지 말라는 중앙일보는 빌게이츠에게 대학공부 다시하라는 수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