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7월 5일 부터 KBS 납량특집으로 월화요일 밤 <구미호 여우누이뎐>을 하는데요.
한국 방송에서 구미호는 여름만 되면 단골 손님이 되어 <전설의 고향> 외전 영화와 드라마, 리얼버라이어티 예능프로로 여름밤을 장식을 합니다. 구미호 누이뎐에서는 아역 김유정과 서신애가 구미호 배역을 합니다.
구미호 캐릭터를 해서 성공한 배우도 있고, 실패한 배우들도 있어서 이전 구미호들과 비교되기도 합니다. 예전에 춘향과 구미호 주연 배우는 당대 최고의 배우이거나 성공이 보장되는 배역이였습니다.
대표적인 구미호는 한혜숙, 김미숙, 장미희, 선우은숙, 송윤아, 고소영, 김태희, 박시연, 한예슬 등이였다. 사극에서는 동이의 장희빈 처럼 여배우의 비교 대상이다. 사람마다 다르지만, 대다수는 역대 최고의 구미호로 장미희와 고소영을 꼽기도 한다.
서구에서는 드라큐라나 늑대인간만큼 한국인들이 좋아하는 괴수(?) 캐릭터가 구미호나 이무기 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한국에서만 구미호가 있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구미호는 산해경이나 중국 쪽에서 먼저 알려져 있었던 괴기스런 동물입니다.
은나라(상)의 마지막 임금 주가 성군이였지만, 성군 주를 망친 경국지색 달기가 사실은 구미호가 변했다는 이야기가 있을 만큼 오래 되었습니다. 나라를 망칠 정도의 요물이 꼬리가 아홉 달린 여우란 일반적으로 있을 수 없으니 만약, 9개의 꼬리가 달렸다면 요물이거나 괴물이고, 요물이라면 사람으로 변해서 인간을 현혹시킬 수 있다는 상상을 자극하는 것이겠지요.
하지만, 중국 쪽보다는 한국에서 사랑(?)하는 캐릭터가 되었고, 중국은 천녀유혼처럼 백사.청사 등이 괴물 캐릭터로 사용되고, 인간을 사랑하는 존재로 바뀌기도 합니다.
그런데 한국의 구미호는 이무기가 천년을 살면 용이 되는 것처럼 인간과 10년을 같이 살면 완벽한 인간이 될 수 있다는 쪽으로 바뀌고, 인간의 간을 식생으로 한다는 것으로 변질되기도 했습니다. 오래된 공동묘지에 나있는 구멍들을 여우들이 판 것으로 오해할 만한 점도 구미호가 인간의 간을 먹는 것으로 변질 되었을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정말 구미호란 존재는 전설상에 존재하는 동물이었을까요? 사실 구미호는 전설에 존재하지 않고 실제 존재하고 있으며 현재도 구미호는 있습니다. 이렇게 이야기하면 과학화된 시대에 무슨 구미호인가 할겁니다. 하지만 구미호는 있습니다. 그런데 왜 요즘은 구미호가 발견이 되지 않을까요? 그러니 구미호는 단지 전설상의 동물이라고 치부할 수도 있습니다.
어떤 사람은 모든 여자는 여우이고, 남자는 늑대이니 꼬리달린 여자가 구미호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사실 여자들의 말과 행동과 마음을 이해하지 못하는 많은 남성들은 모든 여성들이 꼬리가 9개 달린 구미호 일지도 모릅니다.
어린이들에게 요정이나 산타클로스가 없다고 한다면 욕을 먹을 겁니다. 어린이들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요정이나 산타클로스처럼 단지 구미호도 이야기 속에서 만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요정과 산타크로스와는 다르게 구미호는 전설상의 동물도 아니고 우리 내 조상들과 같이 살았습니다.
현대에 구미호가 보이지 않는 이유는 호랑이가 사라진 것처럼 구미호도 사라진 것이라고 말하고 싶겠지만, 호랑이는 남획으로 사라진 것이고, 구미호는 우리의 삶이 현대화되었기 때문에 우리의 눈에 쉽게 발견되지 않을 뿐입니다.
구미호를 발견하고 싶다면 달이 밝은 밤을 선택해야 합니다. 그리고 달이 뜨거나 달이 지는 곳을 잘 살펴보면 구미호를 발견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요즘 현대인들은 달을 보기도 힘들뿐만 아니고 여우가 서식하기 좋은 장소에 살지도 않습니다. 더욱 힘든 점은 달보다 밝은 가로등 아래에 살고 있기 때문에 구미호를 발견할 수 없는 겁니다.
대부분의 구미호가 발견된 장소는 달이 비추는 언덕 위 나무 그늘 있는 길가에 있습니다. 언덕위에서 살랑살랑 9개의 꼬리를 흔들고 달려오거나 멀리서 사람을 응시하며 지키고 있습니다. 하지만, 다가오던 구미호는 어느 순간 사라져 버리고 맙니다. 순식간에 둔갑술을 발휘해서 사라지거나 아내(여인)나 개로 변해서 우리의 눈앞에 나타납니다.
TV를 보다가 보면 자신의 눈을 의심하는 장면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분명히 차는 앞으로 가는데 자동차 휠 바퀴가 뒤로 회전하는 것처럼 보인 적이 있을 겁니다. 티비에 나온 강아지가 꼬리를 흔드는 장면을 보면 꼬리가 여럿처럼 보인 적이 있을 겁니다. 자전거는 앞으로 가는데 자전거 살은 뒤로 회전하는 모습을 본적도 있을 겁니다. 또는 무더운 여름밤 선풍기를 틀었는데 선풍기 날개가 반대로 돌아가는 모습을 본적이 있을 겁니다.
이와 같은 현상은 당신이 피곤해서 잘못 본 것이 아닌 극히 정상입니다. 하지만 이런 현상은 구미호가 우리 주위에 있다는 반증이고 구미호가 부리는 요술입니다. 머리가 주삣서지 않습니까?
이 정도 이야기를 하면 왜 구미호가 전설이 아니고 과거 우리조상들과 살았고, 현대에도 존재하고 있다는 글쓴이의 말에 고개를 끄덕이는 사람들이 있을 겁니다.
사실 구미호는 인간의 눈이 가지는 잔상효과에 의한 착시현상입니다. 대표적인 잔상효과를 이용한 상품은 영화와 텔레비전입니다. 우리가 인터넷에서 모니터로 보는 동영상도 잔상효과를 이용한 제품입니다. 영화는 1초에 30프레임을 보여주고, 텔레비전은 24프레임을 보여줍니다. 모니터는 24~30프레임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인간의 눈은 1초에 10프레임 이상은 연속적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판단을 합니다. 하지만 이보다 적은 프레임을 보여주면 연속되지 않고 불연속 스틸 사진처럼 보입니다.
어릴 적 이야기를 다시 해 보기로 하지요. 깡통 속에 불을 넣고 쥐불놀이를 해본 사람들은 잔상효과를 더 쉽게 이해 할 수 있을 겁니다. 깡통을 빨리 돌리면 쥐불은 하나의 원이 모두 불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빨리 돌리지 않고 천천히 쥐불깡통을 돌린다면 쥐불이 몇 개의 불로 보입니다. 깡통을 돌리는 속도에 따라 쥐불의 개수도 늘었다 줄었다 합니다. 서커스단에서 불기둥으로 놀이를 하는 장면을 떠올리면 쉽게 이해를 할 겁니다. 어릴적 손가락을 접어서 흔들면서 몇 개인지 맞추는 놀이를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요즘은 쥐불놀이를 할 수 없으니 밤에 불을 끄고 촛불을 켜거나 랜턴을 켜서 회전을 시켜보시기 바랍니다. 아니면 핸드폰을 켜서 서서히 빠르게 이동을 해서 쉽게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아니면 지금 당장 모니터 앞에서 손을 천천히 빨리 흔들어 보시기 바랍니다.
조상들이 본 구미호는 반갑다고 꼬리를 흔드는 개이거나 여우일 뿐입니다. 아니면 남늦게 까지 귀가하지 않는 남편을 동구 밖에서 목매이게 기다리다 반가운 마음에 손을 흔드는 아내(여성)를 구미호로 오인하는 것이지요. 그래서 구미호는 젊은 새색시 일 수밖에 없습니다. 여우같은 마누라는 여기에서도 나오는 것이지요. 그런데 세월이 흐르면 여우같던 새색시가 호랑이로 변하고 맙니다.
귀가하는 남편을 반갑게 손을 흔들어 주며 맞이하는 아내들이 사라져 가는 현대인들에게 따스한 구미호가 필요한 시기일지도 모릅니다. 당신들도 이제 구미호가 되어 보지 않으시렵니까?
관련기사
2010/07/07 - [스포츠] - 김연아 갈라곡 논란 될것 없다. 무소의 뿔처럼 가라
2010/07/07 - [TV&ETC] - 여우누이뎐, 여시 모자보다 초옥,두수 부녀가 공포스럽다
2010/07/06 - [TV&ETC] - 구미호 여우누이뎐, 동이보다 100배 나은 누이 이야기
2010/07/06 - [TV&ETC] - 구미호 여우 누이뎐, 동이보다 나은 여성들의 성장 드라마
2010/07/04 - [역사이야기] - 김수로 가야 아닌 구야국 건국시조
2010/07/02 - [TV&ETC] - 네티즌 김수현 비난이 부당한 이유
2010/06/29 - [역사이야기] - 동이, 장희빈 성격부여 실패한 결정적인 이유
2010/06/23 - [역사이야기] - 동이는 신의 딸인가? 슈퍼우먼인가?
'역사IN드라마 > 구미호여우누이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미호 여우누이뎐, 만신 복수극 속에 피어난 천우 사랑의 기적 (23) | 2010.07.28 |
---|---|
구미호 여우누이뎐, 동이보다 100배 나은 누이 이야기 (41) | 2010.07.27 |
구미호 여우누이뎐, 만신의 복수에 놀아난 윤두수와 구미호 (27) | 2010.07.22 |
구미호 여우누이뎐, 김정난의 미친 연기에 빠질 수밖에 없는 이유 (64) | 2010.07.20 |
구미호 여우누이뎐, 구미호보다 인간이 무서운 납량극 (20) | 2010.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