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IN드라마/동이

숙종 동이처럼 놀았다면 독도.울릉도는 일본땅 되었다.

MBC 드라마 동이를 보고 있노라면 숙종은 그저 장희빈과 동이 사이에 흔들리는 군주로 그려지고 있다. 그리고 또한, 숙종은 개그만을 하고 있다.


그렇다면 과연 숙종은 여자들 치맛바람 속에서 사랑 놀음이나 하고 있었을까? 사극 동이만을 보고 있노라면 숙종은 분명히 사랑놀음에만 빠져서 국정에는 관심도 없는 것 처럼 보인다. 사극 동이에서 숙종이 당대에 어떠한 국정운영을 했다고 하는 이야기를 본적이 있는가?


최근 한국과 미국사이에 한미군사훈련을 한다는 이야기가 있다. 이에 대해서 중국은 황해에서 한미군사훈련은 자국의 이익을 침해하고 동북아시아에 긴장을 조성한다고 반발하고 있다.


그런데 미국의 국무성 대변인은 한미 군사훈련을 하는데 있어서 황해와 동해를 직시하지 않고, 동해를 일본해라고 발표하여 외교적 결례를 하였다. 하지만, 우리의 외교부 관계자는 미국의 입장에서 일본해라고 하는 것에 동의하는 듯한 언행을 보였다.


문제는 미국뿐만 아니고 중국도 한미군사훈련에 대해서 문제제기를 할 때 동해를 일본해라고 직시하였지만, 한국 외교부는 어떠한 행동도 취하지 못했다.


숙종시대에 현재와 같은 문제가 있었다. 울릉도와 죽도에 관한 문제가 조선과 일본 사이에 두고 첨예한 대립을 하고 있었다. 이를 해결한 때가 숙종 때 이다.


 

숙종시대에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했다면 울릉도와 독도는 일본의 영토가 되었다. 하지만 당시 숙종시대 관리들은 논리적 근거를 들어서 울릉도와 독도를 조선의 땅임을 천명하였으며 안용복은 일본에 까지 건너가 당시 일본당국으로부터 울릉도와 독도를 조선의 땅임을 인정받게 된다.


당시 일본의 논리를 보면 참으로 재미있는 논리가 숨어있다. 현재의 독도를 자신들의 땅이라고 우기는 논리와 판박이다.

 1695년 숙종 21년

《여지승람(輿地勝覽)》으로 본다면 울릉는 과연 귀국의 땅이다.’는 내용에 있어선 《여지승람》은 바로 2백 년 전의 서적이고 저 섬이 본방(本邦)에 소속된 것은 80년 이래의 일입니다. 그런데 《여지승람》으로 이번 이 건(件)의 증거로 삼으니, 어찌 그다지도 고금(古今)의 변역(變易)을 살피지 못하는 것입니까?

80년 이래로 우리 나라의 변방 백성들이 해마다 죽도(竹島)에 가서 고기잡이를 하였지만, 일찍이 귀국의 공차(公差)와 그 섬에서 서로 만난 적이 없었는데, 이제 개시(開示)하는 서신에는 《여지승람》을 증거로 삼았으니, 지금 답서(答書)에서 말한, ‘수시로 공차를 파견하여 왕래하며 수색하고 검사하게 하였다.’는 것이 어찌 허위(虛僞)의 설명이 아니겠습니까? 제가 질문한 바에 대해서는 개시(開示)하지 못하고, 도리어 서신에다 허위를 드러내었으니, 저는 삼가 귀국을 위하여 수치스럽게 여기는 바입니다.

《지봉유설》에도 또한, ‘요사이 들으니 왜인(倭人)이 의죽도(礒竹島)를 점거했다고 한다.’는 말이 있었습니다. 다른 사람이 점거한 줄 알면서도 그것을 허용하고, 다른 사람이 가서 고기잡이를 하는 줄 알면서도 그것을 허용하였으니, 이는 80년 이래로 귀국이 스스로 그 섬을 버려서 다른 사람의 소유가 되도록 한 것입니다.

지난 일이 이와 같은데도 이번에 우리 백성들이 그 섬에 간 것을 가지고 범월(犯越)과 침섭(侵涉)으로 여기는 것은 매우 생각을 잘못한 것입니다. 이번의 답서(答書)와 첫번째의 답서가 내용이 서로 부합하지 않는데도, 귀국(貴國)에서는 지금 남궁(南宮)의 관원에게 잘못을 돌리고, 전후(前後)의 답서 내용이 서로 부합하지 않는 실수를 숨기고 있습니다. 이번의 이 사건은 진실로 양국(兩國)의 대사(大事)이니, 예조에서 지은 답서를 조정에서 살펴보지 않았을 리가 없을 것입니다. 저는 지금 개시한 서신을 읽고 매우 귀국을 위해 수치스럽게 여기는 바입니다.”


하였다. 처음에 귤진중이 2년을 왜관(倭館)에 머무르며 반드시 요구를 달성하려고 기약하였다. 그래서 스스로 사신의 임무를 성취시키지 못했다는 것을 이유로 조정에서 준례에 따라 공급하는 물품을 일체 취용(取用)하지 않았고, 해진 옷을 입고 밥을 구걸해 먹으며 이루 헤아릴 수 없는 고초를 겪었지만, 마침내 태도를 바꾸지 않았다. 바다를 건너 귀국할 때에 이르러 조정에서 전후에 걸쳐 공급한 백미(白米) 1천 8백 60섬을 가져다 동래부로 서신과 함께 환송(還送)하였다.

이때 귤진중의 일로 인하여 중외(中外)가 흉흉(洶洶)하여 모두 말하기를, ‘임진년8632) 과 같은 변란이 멀지 않아 장차 일어날 것이다.’고 하였다. 인심(人心)이 물결처럼 흔들려 불안에 차 있다가 한참이 지나서야 안정되었다.


일본의 사신이지만, 조선의 빈틈을 노리는 대단한 논리를 가지고 대응하고 있고, 자신의 국익을 위해서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니들이 버린땅 우리가 가졌다 얼마나 심플하냐 말이다. 반면에 한국의 외교관은 어떨까 생각해보면 답답할 뿐이다.


드라마 동이를 보면, 장희빈의 아들인 균을 세자에 책봉시키기 위해서 장희빈의 동생인 장희재가 청나라 관리에게 조선과 청나라의 국경관계에 대한 자료인 등록유초를 넘기고 세자고명을 받은 것으로 나온다. 그리고 이를 해결한 사람이 동이와 심운택의 계략으로 거짓 등록유초가 전달된 것으로 그리고 있다. 하지만, 실제역사와는 하등 상관이 없는 일이다.


조선왕조 실록에서 “울릉”으로 검색을 하면 총 78건의 자료가 나오고 숙종시대에만 울릉도 24건의 자료가 나온다. 그만큼 첨예한 국경분쟁을 하고 있었다는 반증이다.
 

1696년 숙종 22년 비변사(備邊司)에서 안용복(安龍福) 등을 추문(推問)하였는데, 안용복이 말하기를,


“저는 본디 동래(東萊)에 사는데, 어미를 보러 울산(蔚山)에 갔다가 마침 중[僧] 뇌헌(雷憲) 등을 만나서 근년에 울릉도(鬱陵島)에 왕래한 일을 자세히 말하고, 또 그 섬에 해물(海物)이 많다는 것을 말하였더니, 뇌헌 등이 이롭게 여겼습니다. 드디어 같이 배를 타고 영해(寧海) 사는 뱃사공 유일부(劉日夫) 등과 함께 떠나 그 섬에 이르렀는데, 주산(主山)인 삼봉(三峯)은 삼각산(三角山)보다 높았고, 남에서 북까지는 이틀길이고 동에서 서까지도 그러하였습니다. 산에는 잡목(雜木)·매[鷹]·까마귀·고양이가 많았고, 왜선(倭船)도 많이 와서 정박하여 있으므로 뱃사람들이 다 두려워하였습니다.


제가 앞장 서서 말하기를, ‘울릉도는 본디 우리 지경인데, 왜인이 어찌하여 감히 지경을 넘어 침범하였는가? 너희들을 모두 포박하여야 하겠다.’ 하고, 이어서 뱃머리에 나아가 큰소리로 꾸짖었더니, 왜인이 말하기를, ‘우리들은 본디 송도(松島)에 사는데 우연히 고기잡이 하러 나왔다. 이제 본소(本所)로 돌아갈 것이다.’ 하므로, ‘송도는 자산도(子山島)로서, 그것도 우리 나라 땅인데 너희들이 감히 거기에 사는가?’ 하였습니다. 드디어 이튿날 새벽에 배를 몰아 자산도에 갔는데, 왜인들이 막 가마솥을 벌여 놓고 고기 기름을 다리고 있었습니다.

제가 막대기로 쳐서 깨뜨리고 큰 소리로 꾸짖었더니, 왜인들이 거두어 배에 싣고서 돛을 올리고 돌아가므로, 제가 곧 배를 타고 뒤쫓았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광풍을 만나 표류하여 옥기도(玉岐島)에 이르렀는데, 도주(島主)가 들어온 까닭을 물으므로, 제가 말하기를, ‘근년에 내가 이곳에 들어와서 울릉도·자산도 등을 조선(朝鮮)의 지경으로 정하고, 관백(關白)의 서계(書契)까지 있는데, 이 나라에서는 정식(定式)이 없어서 이제 또 우리 지경을 침범하였으니, 이것이 무슨 도리인가?’ 하자, 마땅히 백기주(伯耆州)에 전보(轉報)하겠다고 하였으나, 오랫동안 소식이 없었습니다.


제가 분완(憤惋)을 금하지 못하여 배를 타고 곧장 백기주로 가서 울릉 자산 양도 감세(鬱陵子山兩島監稅)라 가칭하고 장차 사람을 시켜 본도에 통고하려 하는데, 그 섬에서 사람과 말을 보내어 맞이하므로, 저는 푸른 철릭[帖裏]를 입고 검은 포립(布笠)을 쓰고 가죽신을 신고 교자(轎子)를 타고 다른 사람들도 모두 말을 타고서 그 고을로 갔습니다.

저는 도주와 청(廳) 위에 마주 앉고 다른 사람들은 모두 중계(中階)에 앉았는데, 도주가 묻기를, ‘어찌하여 들어왔는가?’ 하므로, 답하기를 ‘전일 두 섬의 일로 서계를 받아낸 것이 명백할 뿐만이 아닌데, 대마 도주(對馬島主)가 서계를 빼앗고는 중간에서 위조하여 두세 번 차왜(差倭)를 보낵 법을 어겨 함부로 침범하였으니, 내가 장차 관백에게 상소하여 죄상을 두루 말하려 한다.’ 하였더니, 도주가 허락하였습니다. 드디어 이인성(李仁成)으로 하여금 소(疏)를 지어 바치게 하자,

도주의 아비가 백기주에 간청하여 오기를, ‘이 소를 올리면 내 아들이 반드시 중한 죄를 얻어 죽게 될 것이니 바치지 말기 바란다.’ 하였으므로, 관백에게 품정(稟定)하지는 못하였으나, 전일 지경을 침범한 왜인 15인을 적발하여 처벌하였습니다. 이어서 저에게 말하기를, ‘두 섬은 이미 너희 나라에 속하였으니, 뒤에 혹 다시 침범하여 넘어가는 자가 있거나 도주가 혹 함부로 침범하거든, 모두 국서(國書)를 만들어 역관(譯官)을 정하여 들여보내면 엄중히 처벌할 것이다.’ 하고, 이어서 양식을 주고 차왜를 정하여 호송하려 하였으나, 제가 데려가는 것은 폐단이 있다고 사양하였습니다.”

하였고, 뇌헌 등 여러 사람의 공사(供辭)도 대략 같았다. 비변사에서 아뢰기를,

“우선 뒷날 등대(登對)할 때를 기다려 품처(稟處)하겠습니다.”

하니, 윤허하였다.


하지만 당시에도 안용복을 죽이려는 관리들이 많았다. 이유는 사사로이 안용복이 일본에 건너가 국정에 관한 일을 하였다는 것이다.


이에 숙종은 영의정 유상운에 일처리 권한을 위임하였다.

유상운(柳尙運)이 말하기를,

“안용복(安龍福)은 법으로 마땅히 주살(誅殺)해야 하는데, 남구만(南九萬)·윤지완(尹趾完)이 모두 가벼이 죽일 수 없다고 하고, 또 도왜(島倭)가 서신을 보내어 죄를 전(前) 도주(島主)에게 돌리고, 울릉도(鬱陵島)에는 왜인의 왕래를 금지시켜 다른 흔단이 없다고 하면서 갑자기 자복(自服)하였으니, 까닭이 없지 않을 듯하므로, 안용복은 앞질러 먼저 처단할 수가 없다고 하였습니다. 그 뜻은 대체로 왜인의 기를 꺾어 자복시킨 것을 안용복의 공(功)으로 여긴 것입니다.” 하니, 임금의 뜻도 그렇게 여겨 감사(減死)하여 정배(定配)하도록 명하였다. 헌부(憲府)에서 여러 번 아뢰면서 다투었으나, 따르지 않았다

 

당시나 현재나 국익보다는 염치에 치중하고 남의 나라눈치나 보는 관리들이 많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안용복은 국법을 어겼다는 죄명을 받고 정배되기도 한다.


이후 울릉도는 2년마다 한번 씩 군사들이 들어가 왜인들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였다.
  

1697년 숙종 23년 “울릉도(鬱陵島)에 대한 일은 이제 이미 명백하게 한 곳으로 귀착되었으니, 틈틈이 사람을 보내어 순시하고 단속해야 합니다.” 하니, 임금이 2년 간격으로 들여보내도록 명하였다.

 

숙종은 일본과의 국경분쟁을 해결했을 뿐만 아니라 청나라와도 국경분쟁을 해결한 왕이다.

일반적으로 사극이 필요한 이유는 시청자들이 알 수 없는 당대의 역사를 드라마를 통해서 알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이 지대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병훈 사극은 역사와는 무관한 사극을 만들뿐만 아니고, 역사를 왜곡하기까지 한다. 아무리 역사와 무관한 사극을 만드는 이병훈이라도 해도 최소한 간간히 역사적인 이야기를 보내주는게 사극을 드라마로 제작하는 자의 의무와 같다.

사극을 남보다 즐겨보는 글쓴이로서는 이병훈 사극이 마냥 즐겁지 않는 이유이기도 하다. 위의 울릉도와 독도와 관련된 내용은 최소한 숙종시대 사극을 만드는 이병훈의 의무와도 같은 것이다. 왜 이를 따로 찾아봐야 하는 것인가?말이다.


당시의 일본외교관과 조선의 외교관을 비교해보고 현재의 외교부 관리들을 비교해보라 누가 더 뛰어난 외교관인지 말이다. 외교부 관리가 자국의 역사를 모르고 대응하기 때문에 미국이 동해를 일본해라고 해도 미국의 말이 옳다고 하고, 중국의 말이 옳다고 하는 것이다. 과연 우리는 외교부 관리를 비난할 만큼 바른 역사관을 가지고 있을까?

관련기사
2010/07/15 - [TV&ETC] - 구미호 여우누이뎐, 여성들만의 감춰진 초경 극복기인 이유
2010/07/13 - [TV&ETC] - 구미호 여우누이뎐, 김유정 여우피와 서신애 간, 왜 인간광우병 떠오를까?
2010/07/13 - [TV&ETC] - 납량 단골 구미호 지금도 우리와 살고 있다 - 구미호 여우누이뎐
2010/07/15 - [이슈] - 이귀남 법무장관식 소통은 전화로 글 지우기?
2010/07/08 - [TV&ETC] - 동이.장희빈 죽이고 주인공도 죽이는 못된 사극
2010/07/08 - [TV&ETC] - 구미호 여우누이뎐, 구미호보다 인간이 무서운 납량극
2010/07/05 - [역사이야기] - 김수로 가야 아닌 구야국 건국시조
2010/02/03 - [독도] - 리에 보다 독도에 대해서 잘안다고 자신하나?
2009/12/25 - [독도] - 일본 독도 집착, 울릉도에서 독도 일출 볼 수 있다. - 성탄절, 연말연시
2009/12/28 - [이슈] - 지식인 구로다 가쓰히로의 양두구육 비빔밥 비하?와 무한도전 김태호 피디의 일침 대응을 보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