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IN드라마

사금갑과 천주사, 거문고 갑을 쏴라


삼국유사에 내제석궁과 천주사와 사금갑에 관한 재미있는 기록이 있다.
 
삼국유사의 다음과 같다.
 
<< 삼국유사 사금갑 >>
 
488년 제21대 비처왕(毗處王; 소지왕炤智王이라고도 한다)이 즉위한 10년 무진(戊辰; 488)에 천천정(天泉亭)에 거동했다.  이때 까마귀와 쥐가 와서 울더니 쥐가 사람의 말로, “이 까마귀가 가는 곳을 찾아 보시오”한다(혹은 말하기를, 신덕왕神德王이 흥륜사興輪寺에 가서 행향行香하려 하는데 길에서 보니 여러 마리 쥐가 꼬리를 물고 있었다.  괴상히 여겨 돌아와 점을 쳐 보니 “내일 제일 먼저 우는 까마귀를 따라가 찾아 보라”고 했다 한다.  하지만 이 설說은 잘못이다).  왕은 기사(騎士)에게 명하여 까마귀를 따르게 했다.  남쪽 피촌(避村; 지금의 양피사壤避寺村이니 남산南山 동쪽 기슭에 있다)에 이르러 보니 돼지 두 마리가 싸우고 있다.  이것을 한참 쳐다보고 있다가 문득 까마귀가 날아간 곳을 잊어버리고 길에서 서성거리고 있었다. 이때 한 늙은이가 못 속에서 나와 글을 올렸는데, 그 글 겉봉에는, “이 글을 떼어 보면 두 사람이 죽을 것이요, 떼어 보지 않으면 한 사람이 죽을 것입니다”했다.  기사(騎士)가 돌아와 비처왕(毗處王)에게 바치니 왕은 말한다.  “두 사람을 죽게 하느니보다는 차라리 떼어 보지 않아 한 사람만 죽게 하는 것이 낫겠다.”  이때 일관(日官)이 아뢰었다.  “두 사람이라 한 것은 서민(庶民)을 말한 것이요, 한 사람이란 바로 왕을 말한 것입니다.”  왕이 그 말을 옳게 여겨 글을 떼어 보니 “금갑(琴匣)을 쏘라[射琴匣]”고 했을 뿐이다.  왕은 곧 궁중으로 들어가 거문고 갑(匣)을 쏘았다.  그 거문고 갑 속에는 내전(內殿)에서 분향수도(焚香修道)하고 있던 중이 궁주(宮主)와 은밀히 간통(奸通)하고 있었다.  이에 두 사람을 사형(死刑)에 처했다. 이런 일이 있은 뒤로 그 나라 풍속에 해마다 정월 상해(上亥)·상자(上子)·상오일(上午日)에는 모든 일을 조심하여 하고, 감히 움직이지 않았다.  그리고 16(5)일을 오기일(烏忌日)이라 하여 찰밥을 지어 제사지냈으나 이런 일은 지금까지도 계속 행해지고 있다.  이언(俚言)에 이것을 달도(怛忉)라고 한다.  슬퍼하고 조심하며 모든 일을 금하고 꺼린다는 뜻이다.  또 노인이 나온 못을 이름하여 서출지(書出池)라고 했다.
 
<< 삼국유사 천사옥대편 >>
 
579년 제26대 백정왕(白淨王)의 시호(諡號)는 진평대왕(眞平大王), 성(姓)은 김씨(金氏)다.  대건(大建) 11년 기해(己亥; 579) 8월에 즉위했다.  신장(身長)이 11척이나 되었다.  내제석궁(內帝釋宮; 천주사天柱寺라고도 하는데 왕王이 창건創建한 것이다)에 거동하여 섬돌을 밟자 두 개가 한꺼번에 부러졌다.  왕이 좌우 사람을 돌아보면서 말했다.  “이 돌을 옮기지 말고 그대로 두었다가 뒷 세상 사람들이 보도록 하라.󰡓��  이것이 바로 성 안에 있는 다섯 개의 움직이지 않는 돌의 하나다.
 
내제석궁의 천주사를 진평왕이  만들었다고 하나 사금갑편을 보면 내전에서 분향수도를 하던 중이 궁주와 간통하고 있다가 죽임을 당하는 내용이 나온다. 내제석궁이 천주사이고 내전에서 분향수도할 수 있는 전각이 있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사금갑의 사건이 신덕왕시기(912~917)이 아니라고 한 것은 김춘추와 김유신, 김문희, 김법민의 고사에 정월 오기일이 나오는 것으로 보았을때 타당하다고 하겠다.
 
천주사에 관한 기록을 살펴보면 동국여지승람에는 천주사는 안압지 북서쪽에 있었다고 하고 있고,  기록대로 천주사지에서 천주사를 증명하는 기와편이 발견되었다. 그러므로 천주사란 절이 있었던 것은 분명하며 내제석궁을 천주사라 했을 수 있다. 처음 천주는 불교적인 색채보다는 신라고유의 신궁에 가깝지 않았을까 추측하게 된다.
 
527년 법흥왕 10년 이차돈이 순교하고 신라에서 공식적으로 불교가 공인된 것을 천주사가 그 이전 시기에 궁내에 있었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에 최소한 사찰로써 천주사는 없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488년 소지왕 시기 내전에서 죽어 나간 사람에 관한 기록을 찾아보면 화랑세기에 재미난 이야기가 전해진다.
 
소지왕의 비는 선혜황후인데 선혜황후는 눌지왕의 딸인 조생과 내숙사이에 태어나고, 소지왕은 눌지왕의 아들인 자비왕과 미사흔의 딸인 (수리) 사이에 태어난다.  수리는 박제상과 치술성모(실성왕녀) 사이에 태어난 보미와 미사흔 사이에서 태어난다
 
선혜황후는 천주공의 아들 묘심과 사사로이 정을 통하다 소지(비처)왕에 발각되어 묘심은 죽고 선혜황후도 죽음직전에 이르나 보기공의 의술로 살아난다. 삼국유사에는 단순히 궁주와 중의 일로 이일로 인해서 둘이 죽었다고 하나 선혜왕후는 죽지않고 단지 폐위되서 위화랑의 처인 오도부인을 낳는다. 또한 폐위된 선혜비는 신궁의 궁주가 되어 보기공의 아들인 흥기와 관계를 가져 기오공을 낳는다. 기오공은 후에 김춘추의 아버지인 용춘공의 어머니인 지도태후를 낳는다. 또한 비지공의 아들인 호조공과 관계를 가져 비조공와 양화공주를 낳는다.  선혜황후는 소지왕과 사이에 법흥왕비인 보도를 낳았으니 다산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다.
 
488년 비처왕(소지왕)사금갑 사건은 소지왕이 왕비인 선혜가 사통함에 이를 죽이려던 사건임이 나타난다.
499년 소지왕은 염신(섬신)공의 딸인 16살 벽화를 맞이하여 비를 삼았고 아들을 낳았으나 바로 죽고 지증왕에 왕위를 넘겨주게 된다.
 
천주사에 관한 또다른 기록으로는
 
화랑세기 5대 풍월주 사다함조에 사다함의 아버지인 구리지와 어머니인 금진낭주 관한 기록으로
 
법흥왕의 후비였던 금진은 법흥왕과 밤일이 맞지않아 문천의 상류에 물러나 살았다. 구리지는 낭도를 모아 금진을 원화(源花)로 삼고자 했다. 앞서 구리지는 숙위두상(宿衛頭上)으로서 금진의 명을 전(殿) 아래에서 늘 받들었다. 구리지는 마음 속으로 그것을 원해, 천주사(天柱寺)에서 무릇 5년(536~540)을 발원했는데, 금진이 비로소 홀로 살게 되었다. 구리지는 이에 날마다 가서 원화가 될 계책을 바쳤다. 금진은 나이가 또한 적었기에 명리를 탐해 허락을 했다.
 
 
또 한가지 기록은 사다함과 관련된 기록인데 6세 풍월주 인 세종과 미실의 사랑의 라이벌인 세종조에 관한 기록이다. 사다함이 가야정벌을 마치고 돌아와서 미실과 세종이 결혼한 것을 보고 실의에 빠지다 무관랑이 죽은 후 7일만에 죽고나서 세종과 미실이 천주사에 명목을 빌었다는 기록이다.
 
천주사(天柱寺)에서 사다함의 명복을 빌었는데, 그날 밤 과연 미실이 꿈에 사다함공이 품에 들어오며 말하기를 ‘내가 그대가 부부가 되고자 했으니, 그대 배를 빌려 태어날 것이다’라고 했다. 이에 공에게 아뢰었다. 공 또한 이상하게 여겼다. 바로 임신이 되어 하종공(夏宗公:564)을 낳았다. 하종공은 모습이 사다함과 심히 비슷했다. 그래서 세상에서는 혹 사다함과 정을 통할 때에 이미 임신을 하고서 입궁해 낳은 아들이라고 하나 그렇지 않다. 세종은 금지옥엽 귀한 왕족이었으나, 능히 사다함공의 어루만짐의 도를 이어 낭도를 많이 뽑아 당(幢)을 이루었다. 도의에 힘써 상하에 두루 미쳤다. 미실이 실로 대궐에 거하며 끌어준 것이다.
 
천주사는 묘심과 선혜후가 죽은 후  묘심의 아버지인 천주공이  묘심과 선혜후를 기리기 위해 자기가 살고 있는 궁을 사찰로 변경할 계연성이 있고 진평왕이 즉위초년(500년) 에 내제석궁인 천주사에 발길을 한것은 그의 선조인 선혜의 위패를 보기위한 것일 수 있으며 내제석궁이 신궁의 역활과 사찰의 역할을 했을 계연성이 많다. 후에는 신궁의 용도 보다는 궁내에 있는 사찰의 역할이 더 컸겠지만..
 
487년 소지왕 9년 봄 2월에 나을(奈乙)에 신궁(神宮)을 설치하였다. 나을은 시조가 처음 태어난 곳이다.
       7월에 월성을 수리하였다.
488년 소지왕 10년 봄 정월에 왕이 월성에 옮겨 거처하였다.
488년 소지(비처)왕 10년 사금갑사건 <삼국유사>
527년 법흥왕 10년 이차돈 순교 <삼국유사>,<삼국사기>
528년 ~535년 천주사 완공
536~540년 구리지의 금진구애 <화랑세기>
563년 진흥왕 24년 미실과 세종의 사다함 명복 기원 <화랑세기>
579~632 진평왕의 천사옥대 <삼국유사>
 
천주사의 조성연대를 추측할때 삼국유사와 기타 조선조의 기록을 비교해서 비처(소지)때 479~500과 진평왕(579~632)중에 하나라고 하나. 화랑세기와 삼국유사 사금갑, 삼국유사, 삼국사기 등을 종합해 볼때
이차돈의 순교가 있고 536년 구리지가 금진에 구애를 하는 이전시기여야 합당하다.
 
또한가지 487년 소지왕 9년 2월 나을 신궁을 설치하였을때, 2대 남해왕의 동생인 여동생 아노가 제사의 주제였듯이 신궁의 제주가 소지비인 선혜왕후이어야 하는데 화랑세기는 선혜황후가 신궁의 주제였고 묘심이 그를 보좌하는 역활이라고 이야기를 하고 있다. 487년 가을 7월 월성을 수리하고 488년 1월 15일에 사금갑 사건이 터진것으로 보았을때 선혜왕후가 미리 월성에 가 있었을 개연성도 있다.
 
오기일이 정월대보름에 해당하고 찰밥을 해 먹는 풍습이 아직까지 전해오는 것을 보니 사금갑사건이  알게 모르게 전해준 일이 아닐까한다. 기록은 파편으로 남아 사금갑의 흔적은 사라지고 정월대보름 풍습만 남았으니 아이러니 하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