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IN드라마/선덕여왕

사기.유사.세기 비교해보니 천명 천수를 누렸다?

신라사회를 재현을 목표로 만들어진, mbc 명품 사극 드라마 선덕여왕에서는 천명을 당나라가 서기전, 수나라 시기인 618년 이전에 죽은 것으로 설정하였다. 그렇다면, 실제 기록에는 천명은 언제 죽었을까? 결론을 말하면 언제 죽었는지는 삼국사기, 삼국유사, 화랑세기 공히 기록하지 않고 있다. 다만, 이들 기록들을 토대로 언제까지 살아있었는 지는 유추해 볼 수 있다.  일단, 현존 화랑세기의 기록을 토대로 천명이 언제까지 살아있었는지를 추적하고,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통해서 천명이 언제까지 생존해 있었는지를 추적해 볼 생각이다. 이전 시리즈 글을 본사람이라면 천명이 언제까지 살아 있었는지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


화랑세기에 기록된 천명의 수명

화랑세기의 13세 풍월주 용춘 (596~603)의 기록에 의하면 용춘이 한때 덕만의 남편으로 생활했던 632년 까지도 천명은 생존하고 있었다. 더 나아가 용춘이 70세로 죽었다는 647년 선덕왕 말년까지도 천명은 생존해 있었다. 그럼 이를 따라가 보자.

선덕은 이에 정사를 을제에게 맡기고 공에게 물러나 살기를 허락하였다. 공은 이에 천명공주를 처로 삼고 태종을 아들로 삼았다. - 화랑세기 용춘

선덕여왕 원년(632) 2월에 대신(大臣) 을제(乙祭)로 하여금 나라의 정치를 총괄하게 하였다.
- 삼국사기 선덕여왕 원년

선덕이 정사를 을제에 맡기는 때는 632년 즉위 초년이다. 이때 비로서 용춘은 천명을 공식적인 처로 삼고, 30살인 춘추(603년생) 를 아들로 삼았다.

공은 만년에 거문고와 바둑을 즐겼다. 천명(天明)·호명(昊明) 양궁과 더불어 산궁(山宮)에서 술상을 차려놓고 바둑을 두고 거문고를 탔다. 태종은 효성을 극진히 하여 안락하게 모셨다. 태화(太和) 원년(647) 8월 세상을 떠나(薨)니 수가 70살이었다   화랑세기 13세 풍월주 용춘

 용춘은 647년 8월 70살에 세상을 떠났지만, 말년인 647년 8월까지도 천명은 죽지 않고 살아 있었다. 화랑세기는 여기서 기록이 사라진다. 하지만 천명은 용춘이 70살로 죽은 이후에도 죽었다는 기록이 없다. 천명은 아마도 춘추가 즉위하던 그 순간까지도 살아 있었던 것으로 추측 된다. 그럼 삼국사기와 삼국유사가 전하는 천명의 기록을 살펴 보도록 하자.

삼국사기.삼국유사가 전하는 천명은 언제 죽었나?

그럼 천명은 정말 덕만이 왕위에 오르기 전에 죽은 것일까?

삼국사기의 김춘추가 654년 3월 왕위에 오르고, 얼마 지나지 않은 4월에 자신의 죽은 아버지와 어머니에게 명예왕과 태후직을 올린다.

태종 무열왕(太宗武烈王)이 왕위에 올랐다. 이름은 춘추(春秋)이고 진지왕의 아들 이찬 용춘(龍春)<또는 용수(龍樹)라고도 하였다.>의 아들이다.<당서(唐書)에는 진덕의 동생이라 하였으나 잘못이다.> 어머니 천명부인(天明夫人)은 진평왕의 딸이고, 왕비 문명부인(文明夫人)은 각찬(角湌) 서현의 딸이다.
- 삼국사기  654년 신라 29대 춘추 출자설명

원년(654) 여름 4월에 왕의 죽은 아버지를 문흥대왕(文興大王)으로 추봉(追封)하고 어머니를 문정태후(文貞太后)로 삼았다.  - 삼국사기 29대 춘추 654년 여름 4월

어떤가? 603년 생인 춘추가 654년 52살에 왕위에 올랐을때, 아버지 이찬 용춘(용수)는 이미 죽어 있어서 추봉한 것이고, 어머니 천명은 아들인 춘추가 왕이 되었기 때문에 문정태후가 된것이다. 이때 천명의 나이는 대략 65~68세 정도로 추측된다.  당시의 기준으로 하면 천수를 다하여 살고 있는 것이다.

어떤 이들은 천명도 "추봉"이란 용수(용춘)의 기록을 근거로 죽지 않았는가? 하는 분이 계신다. 하지만 만만의 꽁떡이 되시겠다. 위의 즉위초년 기사의 원문을 살펴보면, 천명은 아들이 왕이 되는 것을 살아 생전에 보았음이 확실하다. 

일단 잡설로 김부식은 "
당서의 진덕왕의 동생이란 기사는 잘못되었다"고 했다. 하지만, 진덕왕의 동생이 맞다. 일단, 국반은 용춘과는 사촌간이다. 그러니 진덕과 춘추는 육촌간이 된다. 당서의 기록에는 진덕이 춘추보다 나이가 많았다고 기록하고 있으니, 진덕은 603년 이전 생이 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건 논외로 치고, 다음 기회에 이와 관련된 포스팅을 할 때가 있을 것이다.

지금은 천명이 춘추가 왕위에 오를때 이미 죽었는지, 살았는지를 확인하는 절차를 따라가 보자. 일단 한자 원문을 보기로 하자.

元年 夏四月 追封王考爲文興大王 母爲文貞太后 추봉왕고위문흥대왕 모위문정태후

고(考)와 부(父), 비(妣)와 모(母)의 차이

고(考)는 죽은아버지를 말한다. 그런데 모(母)는 생존한 어머니를 뜻한다. 만약, 죽었다면 모(母)대신에 비(妣), 죽은 어머니 비(妣)를 써야 한다.

물론,  제사를 지내는 지방에 표현하는 것이니, 당시에 죽은 아버지는 (考)로 쓰고, 죽은 어머니를 모(母)로 썼다고 한다면 할 말은 없다.


하지만, 원문 해석상에 '<추봉왕고>위<문흥대왕>' 이고 ,'<모>위<문정태후>'이다. <추봉왕고>와 <모>는 서로 대응하고 <문흥대왕>와 <문정태후>은 서로 대응한다. 그러니 추봉된 죽은 아버지(용수.용춘)는 문흥대왕으로, 어머니(천명)는 문정태후로 했다는 말이 되는 것이다.

삼국사기의 기록을 자세히 읽어 보면 <죽은 추봉왕>이다. 이미 한번 왕으로 추봉 되었음을 짐작해 한다. 그래서 삼국유사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대왕으로 추봉되기 전에 무슨왕으로 추봉된것일까?

제29대 태종대왕(太宗大王)의 이름은 춘추(春秋), 성(姓)은 김씨(金氏)이다.  용수(龍樹; 혹은 용춘龍春) 각간(角干)으로 추봉(追封)된 문흥대왕(文興大王)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진평대왕(眞平大王)의 딸 천명부인(天明夫人)이며 비(妃)는 문명황후(文明皇后) 문희(文姬)이니 곧 유신공(庾信公)의 끝누이였다 - 삼국유사 29대 춘추

삼국사기의 기록에는 이찬 용수.용춘의 아들 이라고 했다. 그런데 삼국유사는 '용수(용춘) 각간'으로 추봉된 문흥대왕의 아들이라고 하고 있다. 물론, <용수각간으로 추봉된>으로 끊어 읽느냐 아니면 <용수(용춘)각간으로>, 추봉된 문흥대왕에 따라서 해석상에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삼국사기는 각간의 밑인 <이찬>이고, 삼국 유사는 <각간>으로 나온다. 그러니 <이찬>에서 <각간>으로 추봉되었다고 볼수 있다.

문제는 문흥대왕으로 추봉하기 전에 이미 한번<추봉왕><고><위><문흥대왕>이라고 했다는 것이다.
죽은아버지(고) <추봉왕>을 <문흥대왕>으로 했다.

신라는 왕의 아랫단계인 <갈문왕>이란 제도(?)를 두고 있었다. 그러니 최소한 갈문왕이나 문흥대왕이 아닌 용수대왕이나 용춘대왕이지 않았을까? 그건 이름이 무엇인가에 따라 달라 진다. 용춘이 이름이였다면 용수갈문왕이였을 것이고, 용수가 이름이였다면 용춘갈문왕이였을 것이다. 단지 용수갈문왕이지 않을까? 하지만, 이건 용수.용춘이 동일인물일때의 가정이다. 동일인물이 아니라면? 다른 이름이지 않았을까? 어떤 대왕이였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다만 삼국사기에의하면 문흥대왕 이전에 이미 <추봉왕>이였다는 사실이다.

하지만, 화랑세기는 죽고나서 용춘이 <갈문왕>으로 추봉되었다고 한다. 화랑세기는 용수와 용춘을 서로 다른 사람으로 기술하고 있다. 용수가 먼저 죽고, '용춘은 647년 8월 선덕(덕만)왕이 죽은 같은 달에 70살로 죽었다'고 한다.  
화랑세기에는 용춘이 629년 낭비성 전투의 공적으로 각간이 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러니 각간->갈문왕->문흥대왕이 된다. 이래서 화랑세기를 함부로 위서다라고 단정적으로 말할수가 없다.

그런데 용수는 살아생전에 이미 이찬에 있었다. 그러니 각간->갈문왕->문흥대왕으로 추봉 되었음직하다.

이대목이 용수와 용춘이 한사람이냐? 서로 다른 사람이냐를 가르는 갈림길이다. 이에 관해서는 별도로 포스팅을 할 예정이다.
* <추봉왕>처럼 하나로 묶을것인지, <추봉>,<왕>으로 추봉과 왕을 끊어서 해석할 것인지는 논의가 더 필요하다.

결론  고비. 부모의 차이를 안다면

고(考)와 부(父), 비(妣)와 모(母)의 차이를 안다면 춘추가 왕위에 오른 654년 이전 천명이 죽었다고 감히 말할 수 없다.

춘추가 왕이 되었을 때 아비인 용춘(용수)는 죽었고(考), 어미인 천명은 살아 있었다(母)는 사실이 중요하다.
춘추의 어머니인 천명은 춘추가 왕이 되는 영광을 살아 생전에 봤다는 데는 별다른 하자가 없다. 하지만 천명이 언제 죽었는지는 모른다.  585~588년 생으로 추측하는 천명은, 654년 67~70세 에도 생존하고 있으니 당시 신라에서는 보기 드물게 천수를 누리고, 만수를 누렸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