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IN드라마/왕과나

왕과나, sbs는 사극을 만들지 마라

 
SBS에서 환관 김처선의 일대기를 그리는 역사드라마(사극) <왕과나>를 방영하고 있다. 환관을 전면에 내세워 역사를 새롭게 해석하고 환관이 왕과 정사에 어떻게 관여를 하고 관료들과 궁중암투를 벌렸는가 보여주는 것은 새로운 재미가 있을 것이다.
 

이미지 더 보기
프로그램명 : 왕과 나
방송 : SBS 월,화 저녁 9시 55분
소개 : 환관으로서 조선 5대 문종에서 부터 10대 연산군에까지 시종에 임했던 김처선 이야기
출연 : 오만석(김처선), 구혜선(윤소화), 고주원(성종), 전광렬(조치겸), 양미경(정희왕후)

 
 
다음 포털에 나와 있는 <왕과나>의 소개글에 다음과 같이 쓰여져 있다.
 
환관으로서 조선 5대 문종에서 부터 10대 연산군에까지 시종에 임했던 김처선 이야기
 
그러나, SBS <왕과나>는 문종때의 환관 김처선은 그리지도 않고 있다.
전광렬이 배역을 맞고 있는 조치겸이 환관 실제 김처선이고 김처선의 양자인 이공신을 김처선으로 그리고 있는것 처럼 보인다.

 

 
극을 극으로 보아야하고 역사를 역사로 보아야한다는 사람들이 있다. 역사와 <극>은 서로 다르다고 이야기를 한다. 그러나 극이 표방하는 바가 았다. 사극을 표방했다면 사극다워야한다. 퓨전사극을 표방하고 퓨전사극을 이야기한다면 그에 합당한 비판을 하면 된다. 
 
하지만 SBS <왕과나>는 작가의 상상력을 넘어선 <사기극>에 지나지 않는다. 만약, 사극이란 타이틀을 달려면 최소한 주인공과 연관된 기본적인 팩트를 건들면 안된다. 그렇지 않으면 황당개그 <사기극>이 되기 때문이다. 재미를 위해서 역사를 난도질하는 것은 작가의 역사에 대한 인식과 스스로 아이디어가 없음을 스스로 까발리는 짓이다.
 
최소한 기본적인 팩트를 지키지도 못하고 팩트와 팩트사이에 일어남직한 개연성의 스토리를 만들어 내지 못한다면 작가의 상상력 빈곤이다. 상상력이 없는 작가가 무슨 작가인가? 구라를 만들어 내는 것이 작가의 기본이지만 구라를 구라처럼 안보이게 하는 것이 작가가 아닐까?
 
SBS는 제발 사극을 만들지 않았음 하는 바람이 있다. 이전에 만든 <연개소문>이나 그전에 만든 <서동요>등.. 무수히 만들어낸 SBS역 역사물들은 새롭고 알지 못하는 역사를 알려주는 것이 아닌 그나마 부족한 역사기록조차도 왜곡하고 난도질하고 희롱하고 있다. 근대 뉴스 기사의 왜곡을 넘어서 역사기록조차 왜곡한다. 그래서 SBS를 <시방새>라고 하는 지도 모르겠다.
 

 
<왕과나>가 <사극>이란 타이틀을 달지 않았다면 의의를 제기하지 않았을 것이다. <태왕사신기>는 SF 환타지라고 스스로 내걸고 있으니 봐줄만 하다. 박종훈이 주연한 SF 황당역사물 <천군>은 이순신장군을 소재로 현대와 과거를 넘나드는 <백퓨터 퓨처>식의 보는 재미라도 있다.
 

(천군)

 

(MBC 태왕사신기)
최소한 사극을 표방했다면 주인공의 생몰일, 연령대와 주인공과 관련된자의 관계도는 씨줄과 날줄처럼 정교함이 있어야 하고, 등장하는 인물의 복장,건축물이나 엑서서리까지도 고증을 걸쳐야 하는 것이 기본중의 기본이다. 그러한데도 불구하고, 기본적인 주인공이 생몰연도까지 사실관계에 부합하지 않는다면 어찌하여 사극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그와 관련된 인물간의 관계도와 인과관계를 흩트려 버리는 드라마를 <사극>이라고 말할 수 있는가? <사기극>이라면 모를까? 
 
최소한 SBS는 방송을 내볼때 마다  "<왕과나>는 역사의 기록과 전혀 일치하지 않습니다"라고 자막을 내보는 것이 합리적이지 않을까한다.
 
실제 역사서의 환관 김처선에 관한 기록은 조금만 뒤적여도 수 없이 나온다.
조선왕조실록에서 검색을해도 75건의 기록이 나오고. 이긍익의 연려실기술에도 3건의 기록이 나오고 <해동잡록>에도 1건이 나온다. 그외에도 많은 기록들이 있다.
 
조선왕조실록에 환관 김처선의 기록은 <단종> 1년 1453년의 기록을 시작으로
 

단종 01계유(1453, 경태 4) 10월13일(병신)   허후·이세문·유형 등을 각기 다른 장소에 안치하고 김처선을 석방하도록 의금부에 전지하다

 
연산군 11을축(1505, 홍치 18) 4월1일(병진)   환관 김처선과 양자 이공신을 금중에서 죽이다

 
1505년 죽음을 맞이 한다. 단종 3년 (1453년)에 나이어린 환관 축에 들었더라도 약관(20)는 넘었을 것이다. 그러므로 죽을때의 나이가 최소 53세+20여세가 되어 73세가 된다.
 
조선왕조 실록에 환관 김처선의 기록은 75번째 영조27년(1751) 기록으로 끝을 맺는다.
 
 
영조 27신미(1751, 건륭 16) 2월3일(신미)   환관 김처선에게 정문을 세울 것을 명하다
 이다.
 
단종때부터 환관인 김처선은 폐비윤씨가 26세로 죽은 1482년이면 최소한 50세가 넘은 나이가 된다. 이게 무슨 변실장과 신정아의 사랑도 아니고.. 윤씨가 태어나기도 전인데 사랑하는 여인을 위해서 어찌 거세를 할수가 있더란 말인가? 혹, 윤씨가 김처선의 용모에 반해 가까이 가기위해서 성종의 후궁이 되었다면 더 자극적이지 않을까?
 
이처럼 성종과 폐비윤씨와 김처선의 로망에 들어설 자리가 없다. SBS가 좋아하는 황당역사극이라면 차라리 김처선 때문에 죽임을 당한 김처선의 양자 <이공신>과  <성종>과 <폐비윤씨>의 로망이라면 이해라도 되겠다. 또한 이공신과 폐비윤씨는 그렇고 그런 부적절한 관계를 가져 연산군을 낳았다. 연산군이 자신의 아들인줄안 성종이 지속적인 이공신과 윤씨의 부적절한 관계를 눈치를 채고, 폐비윤씨에게 사약을 내리지만 막강한 권력을 쥔 김처선 때문에 이공신을 죽이지 못하고 끝내 성종이 화병에 죽는다. 연산군은 어머니 폐비윤씨의 복수를 위해서 관련자 모두를 죽인다. 그리고 김처선과 이공신을 죽였지만 알고보니 연산군은 자신의 진짜 아비를 죽인 폐륜아였다는  SBS식의 황당역사개그 사기극의 대미를 장식할수 있지 않을까?  그러면 역사의 기본골격인 연표는 흩트러지지 않는다.
 
이긍익의 연려실기술에
 
○ 윤씨가 폐위된 뒤에 폐주가 세자로 동궁에 있던 어느 날, “제가 거리에 나가 놀다 오겠습니다.” 하므로 성종이 허락하였다. 저녁 때 대궐로 돌아오자 성종이 “네가 오늘 거리에 나가서 놀 때 무슨 기이한 일이 있더냐?” 하니 폐주는 “구경할 만한 것은 없었습니다. 다만 송아지 한 마리가 어미소를 따라가는데,그 어미소가 소리를 하면 그 송아지도 문득 소리를 내어 응하여 어미와 새끼가 함께 살아 있으니 이것이 가장 부러운 일이었습니다.” 하였다. 성종은 이 말을 듣고 슬피 여겼다. 대개 연산군이 본성을 잃은 것은 윤씨가 폐위된 데 원인이 있는 것이지만 왕위에 처음 올랐을 때는 자못 슬기롭고 총명한 임금으로 일컬어졌었다. 《아성잡기(鵝城雜記)》
 

환관(宦官) 김처선(金處善)
김처선은 관직이 정2품이었다. 연산주가 어둡고 음란하였으므로 김처선이 매양 정성을 다하여 간하니, 연산주는 노여움을 속에 쌓아 둔 채 겉으로 나타내지 아니하였다. 일찍이 궁중에서 임금이 처용(處容) 놀이를 하며 음란함이 도를 지나쳤다. 김처선은 집안 사람에게, “오늘 나는 반드시 죽을 것이다.” 하고 들어가서 거리낌없이 말하기를,“늙은 놈이 네 분 임금을 섬겼고, 경서와 사서를 대강 통하지마는 고금에 전하처럼 행동하는 이는 없었습니다.” 하였다. 이에 연산주가 성을 참지 못하여 활을 당겨 쏘아서 갈빗대에 맞히자, 김처선은 “조정의 대신들도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데 늙은 내시가 어찌 감히 죽음을 아끼겠습니까. 다만 전하께서 오래도록 보위에 계시지 못할 것이 한스러울 뿐입니다.” 하였다.연산주는 화살 하나를 더 쏘아 맞쳐서 공을 땅에 넘어뜨리고, 그 다리를 끊고서 일어나 다니라고 하였다. 이에 처선은 임금을 쳐다보면서, “전하께서는 다리가 부러져도 다닐 수 있습니까.” 하자, 또 그 혀를 자르고 몸소 그 배를 갈라 창자를 끄집어 내었는데, 죽을 때까지 말을 그치지 아니하였다. 마침내 그 시체를 범에게 주고 조정과 민간에 ‘처(處)’ 자를 말하지 못하게 하였다. 《소문쇄록》

○ 권발(權?)이 갑자년 시험에 합격했는데, 책문(策問) 시험에 합격되어 이름을 떼어 본 뒤에 시관이 시권 안에 처(處)자가 있는 것을 깨닫고 낙방시키기를 청하였으니, 이는 앞서 연산주가 노하여 조정과 민간에 처선(處善)이란 두 글자를 쓰지 못하게 한 까닭이었다. 권발은 뒤에 정묘년에 과거에 합격되었다. <행장>
 
 
이긍익의 연려실기술에서 <처>라는 글짜때문에 낙방하는 선비가 있는가 하면, 24절기 <처서>에 들어가는 <처>자도 김처선과 같다하여 다른 글짜로 바꾸었고, <김처선>이란 이름을 쓰는 모든 자들에게 개명을 하도록 하였다고 <조선왕조실록>는 기록하고 있다. 대부분 왕의 이름에 들어가는 글자를 피해서 기록하는 것은 역사서에 수없이 보이는데 죄인의 이름짜에 들어간 글짜까지 피하게 만들었다는 <김처선>이 어떤인물이고 연산군이 어떠한 인물인지는 알만하다.
 
역사란 바라보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다가온다. 우리는 일제시대는 잊어야하는 시대로, 망각해야 하는 역사로 생각을 한다. 그래서 일제시대에 수많은 역사흔적들을 없애버리고, 감추고, 잊어 버리는데 혈안이 되어 있다. 광개토대왕이나 대륙백제, 백제의 담로국은 없어도 만들어야 하고, 일제시대, 우토로나 위안부, 광주518 등 아프픈역사는 감추고 싶어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가장 웃기게 왜곡된 용어가 있다. <한일합방>이란 말인데.. 일반적인 해석은 한국과 일본이 하나가 되었다는 이야기다. 합방한 주체가 한국이고 객체가 일본이 된다. 만약, 미래에 어떤이가 <한일합방>을 해석한다면 한국이 일본을 합방했는줄 알것이다. 그리고 한국이 일본을 점령햇는데 일본이 왜곡했거나, 사대주의자들이 역사를 감추고 삭제했다고 방방 뜰것이다. 얼마나 얼척없는 일이 발생할것인가? 정확하게는 <일한합방>이 되어야 한다.
 
불행한 역사도 사실에 부합되게 기록으로 남아있어야 한다. 그런것이 역사인것이다. 그래야 역사와 끝임없이 대화를 하고 미래로 나아가는 것이다. 화려한 역사만 기록된것은 역사라고 할 수 없다. 화려함만 있는 역사는 그저그런 선전 찌라시에 불과하다.
 
역사는 희망을 적는 기록이 아니다.
 
블로거뉴스에서 이 포스트를 추천해주세요.

 



우토로의 희망을 기다리는 마지막 30일 시작~! (D-20)

 
  "우토로의 희망을 기다리는 마지막 30일 참여 방법"
 
   ♥ 아고라 청원 바로가기 (10만인 서명을 향해 출발~)
   ♥
아름다운 재단 홈페이지에서 신용카드 휴대폰 송금 바로가기

   ♥ 아름다운 재단 무통장 입금
      하나은행 162-910006-81704 / 국민은행 006001-04-091586 (예금주:아름다운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