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천대사의 떡밥 첨성대
그런데 첨성대는 정말 하늘을 별을 살피고, 천문을 관찰하는 관측소 였을까?
좁디 좁은 첨성대의 꼭대기 창으로 하늘을 보면 얼마나 볼것인가? 첨성대는 실지로 하늘과 신라를 연결하는 통로인것이다.
신라의 시조인 박혁거세는 나정(#)에서 태어났다. 혁거세의 부인인 알영은 알천의 우물(#)에서 닭의 부리 모양의 허물을 벗고, 환골탈태하였다. 그래서 나정에 신궁을 짓고 제사를 지내는 신라, 어찌보면 고구려의 상징이라고 보기보다는 신라 신국의 건국 상징이 #이 아닐까 하는 생각에 미치게 되었다, 그만큼 우물(#)은 신라에게는 땔 수 없는 상징이 된다.
돼지가 우물에 빠지 듯 삼국사기 곳곳엔 우물에서 용이 하늘로 올랐다는 기사를 종종 발견하게 된다. 우물과 용과 북두는 하나의 상징처럼 느껴진다.
선덕여왕에서 선덕과 천명과 유신은 북두의 정기를 타고난 상징들이 아닌가?
(#) 문양을 신라의 상징으로 만든 선덕여왕의 역발상이 참으로 재밌다.
사극으로 인해 역사는 어떻게 기록하고 있는가?를 알아가는 과정이니 역사를 공부하는 사람들에게는 좋은 공부재료가 될 것 같다. 몰랐던 부분이나 잘못알고 있던 부분을, 잠시 잊고 있었던 부분을 알아가는 과정이 기쁠때가 있다.
선덕여왕에서 연기자들의 톡톡튀는 연기를 보는 재미도 있지만, 선덕여왕의 다음 행보가 어떻게 전개되어 나타날지 자못 궁금해 진다. 그래서 사극은 나에게 또다른 즐거움을 준다.
PS 왜 '#'은 고구려의 상징문양이고, 광개토대왕의 상징인데 신라의 상징이냐고 반문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광개토태왕의 호우십우총에서 나온 배(그릇)를 빼고, 고구려 한강방어선인 아차산성에서 나온 '#' 질그릇 빼면, 또다른 것 있던가요? 천신족의 상징이 하늘을 비추는 거울인 우물일 수 있다는 생각도 있겠지요. 물론, 고구려의 영향을 받았을 수도 있습니다. 고구려는 광개토왕 남진 이후 실질적으로 신라를 약 50~70여년 정도는 지배하고 있었으닌까요
2009/08/26 - [역사이야기] - '선덕여왕',덕만의 꽃놀이패 일식, 개고생하는 비담
2009/08/27 - [역사이야기] - '선덕여왕', 일식 없다는데 정말 없었을까?
'역사IN드라마 > 선덕여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덕여왕',덕만의 꽃놀이패 (20) | 2009.08.26 |
---|---|
'선덕여왕',덕만의 꽃놀이패 (20) | 2009.08.26 |
선덕여왕, 월천대사의 떡밥은 첨성대 (45) | 2009.08.26 |
'선덕여왕', 본격화된 미실과 덕만의 대국민 언론전 (28) | 2009.08.25 |
'선덕여왕', 본격화된 미실과 덕만의 대국민 언론전 (28) | 2009.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