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패미즘

대의(大義)와 대의(大意) 대세(大世)와 대세(大勢) 삼국사기 신라본기 진평왕조에 나오는 기사 일부이다. 진평왕 9년(587) 가을 7월에 대세(大世)와 구칠(仇柒) 두 사람이 바다로 떠났다. 대세는 나물왕의 7세손 이찬 동대(冬臺)의 아들로, 자질이 뛰어났고 어려서부터 세속을 떠날 뜻이 있었다. 승려 담수(淡水)와 사귀며 놀던 어느날 말하였다. 이 신라의 산골에 살다가 일생을 마친다면, 못 속의 물고기와 새장의 새가 푸른 바다의 넓음과 산림의 너그럽고 한가함을 모르는 것과 무엇이 다르겠는가? 나는 장차 뗏목을 타고 바다를 건너 오월(吳越)에 이르러 차차로 스승을 찾아 명산에서 도를 물으려 한다. 만약 평범한 인간에서 벗어나 신선(神仙)을 배울 수 있다면, 텅 비고 넓은 허공 위를 바람을 타고 훨훨 나를 터이니 이것이야말로 천하의 기이한 놀이요, 볼만한 광.. 더보기
대의(大義)와 대의(大意) 대세(大世)와 대세(大勢) 삼국사기 신라본기 진평왕조에 나오는 기사 일부이다. 진평왕 9년(587) 가을 7월에 대세(大世)와 구칠(仇柒) 두 사람이 바다로 떠났다. 대세는 나물왕의 7세손 이찬 동대(冬臺)의 아들로, 자질이 뛰어났고 어려서부터 세속을 떠날 뜻이 있었다. 승려 담수(淡水)와 사귀며 놀던 어느날 말하였다. 이 신라의 산골에 살다가 일생을 마친다면, 못 속의 물고기와 새장의 새가 푸른 바다의 넓음과 산림의 너그럽고 한가함을 모르는 것과 무엇이 다르겠는가? 나는 장차 뗏목을 타고 바다를 건너 오월(吳越)에 이르러 차차로 스승을 찾아 명산에서 도를 물으려 한다. 만약 평범한 인간에서 벗어나 신선(神仙)을 배울 수 있다면, 텅 비고 넓은 허공 위를 바람을 타고 훨훨 나를 터이니 이것이야말로 천하의 기이한 놀이요, 볼만한 광..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