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명력

역사기록으로 본 '선덕여왕', 일식은 있었다. - 개기일식, 부분일식 역사 기록에는 일식이 있었을까? 신라를 국내 최초로 재현했다는 명품 드라마 에서 미실과 덕만이 일식의 대결을 벌렸다. 하지만, 미실의 처참한 패배로 끝나 버렸다. 그런데 역사기록에는 진평왕 시기에 일식이 있었을까? 진평왕 비슷한 시기에 일식에 관한 기록은 다음과 같다. 삼국사기 본기 - 위덕왕 19년(572)에 사신을 북제(北齊)에 보내 조공하였다. 가을 9월 초하루 경자에 일식이 있었다. 삼국사기 본기 - 위덕왕 39년(592) 가을 7월 임신 그믐에 일식이 있었다. 삼국사기 본기 - 원성왕 3년(787) 봄 2월에 서울에 지진이 일어났다. 몸소 신궁에 제사지내고 크게 사면하였다. 여름 5월에 금성[太白]이 낮에 나타났다. 가을 7월에 누리가 곡식을 해쳤다. 8월 초하루 신사에 일식이 있었다. 위의 삼.. 더보기
역사기록으로 본 '선덕여왕', 일식은 있었다. - 개기일식, 부분일식 역사 기록에는 일식이 있었을까? 신라를 국내 최초로 재현했다는 명품 드라마 에서 미실과 덕만이 일식의 대결을 벌렸다. 하지만, 미실의 처참한 패배로 끝나 버렸다. 그런데 역사기록에는 진평왕 시기에 일식이 있었을까? 진평왕 비슷한 시기에 일식에 관한 기록은 다음과 같다. 삼국사기 본기 - 위덕왕 19년(572)에 사신을 북제(北齊)에 보내 조공하였다. 가을 9월 초하루 경자에 일식이 있었다. 삼국사기 본기 - 위덕왕 39년(592) 가을 7월 임신 그믐에 일식이 있었다. 삼국사기 본기 - 원성왕 3년(787) 봄 2월에 서울에 지진이 일어났다. 몸소 신궁에 제사지내고 크게 사면하였다. 여름 5월에 금성[太白]이 낮에 나타났다. 가을 7월에 누리가 곡식을 해쳤다. 8월 초하루 신사에 일식이 있었다. 위의 삼.. 더보기
'선덕여왕', 본격화된 미실과 덕만의 대국민 언론전 사사로운 모든 연정을 끊는 유신 유신(엄태웅)은 덕만(이요원)에 대한 사사로운 연정을 끊고, 마지막으로 덕만에 개인적인 사감을 드러낸것을 용서하라고 하면서, 덕만과 뜨거운 이별의 포옹을 한다. 나이어린 놈이 늙은 덕만 누이를 희롱하다니.. 사실 기록을 검토하다 보면 유신(595년생)이 615년 이후 출생으로 생각되는 덕만 보다 20살은 많다. 드라마 선덕여왕이 의도하지 않게 가장 합리적인 모습이 유신과 덕만의 관계이다. 드라마상에는 화랑세기를 모본으로 했지만, 덕만만 천명의 출생과 같이 기존통설에 따라 580년대 초반으로 천명과 덕만이 출생한 것으로 인해서 전혀 어울리지 않지만 말이다. 화랑세기는 덕만을 천명보다 한참 나이가 어린 동생으로 기술되고 있다. 어찌 되었던 드라마가 모본으로 삼고 있는 화랑세기.. 더보기
'선덕여왕', 본격화된 미실과 덕만의 대국민 언론전 사사로운 모든 연정을 끊는 유신 유신(엄태웅)은 덕만(이요원)에 대한 사사로운 연정을 끊고, 마지막으로 덕만에 개인적인 사감을 드러낸것을 용서하라고 하면서, 덕만과 뜨거운 이별의 포옹을 한다. 나이어린 놈이 늙은 덕만 누이를 희롱하다니.. 사실 기록을 검토하다 보면 유신(595년생)이 615년 이후 출생으로 생각되는 덕만 보다 20살은 많다. 드라마 선덕여왕이 의도하지 않게 가장 합리적인 모습이 유신과 덕만의 관계이다. 드라마상에는 화랑세기를 모본으로 했지만, 덕만만 천명의 출생과 같이 기존통설에 따라 580년대 초반으로 천명과 덕만이 출생한 것으로 인해서 전혀 어울리지 않지만 말이다. 화랑세기는 덕만을 천명보다 한참 나이가 어린 동생으로 기술되고 있다. 어찌 되었던 드라마가 모본으로 삼고 있는 화랑세기.. 더보기
유신, 덕만의 꼬임에 넘어가다, 그리고 선덕여왕의 비밀들 드라마 선덕여왕이 일식과 월식에 집착하는 이유? 미실은 월천에게 "일식이 있겠습니까?" 묻는다. 하지만 월천은 "세주께 괜한 말을 했다"고 한다. 이는 일식을 맞출 수 없다는 말이고, 덕만이 일식을 맞춘다는 뜻이기도 하다. 덕만이 사막에서 얻은 책력이 월천에 넘어가고 정확히 일식을 맞추는 것을 예비 된것 같다. mbc 드라마 사극 선덕여왕 26회에서 덕만(이요원)은 미실(고현정)이 신라를 차지한 방법 그대로, 신라를 차지할것이라고 한다. 그러기 위해선 반드시 월천이 필요하다. 월천은 천문학자이자, 법사이자, 의사이다. 2009년 8월초에 70년만에 개기일식이 있었다. 하지만, 진평왕 시기에 일식은 있었을까? 물론, 일식도 없었고, 월식도 없었다. 당시의 일식이 있던 시기를 뽑아 본다면 다음과 같다. 삼국.. 더보기
유신, 덕만의 꼬임에 넘어가다, 그리고 선덕여왕의 비밀들 드라마 선덕여왕이 일식과 월식에 집착하는 이유? 미실은 월천에게 "일식이 있겠습니까?" 묻는다. 하지만 월천은 "세주께 괜한 말을 했다"고 한다. 이는 일식을 맞출 수 없다는 말이고, 덕만이 일식을 맞춘다는 뜻이기도 하다. 덕만이 사막에서 얻은 책력이 월천에 넘어가고 정확히 일식을 맞추는 것을 예비 된것 같다. mbc 드라마 사극 선덕여왕 26회에서 덕만(이요원)은 미실(고현정)이 신라를 차지한 방법 그대로, 신라를 차지할것이라고 한다. 그러기 위해선 반드시 월천이 필요하다. 월천은 천문학자이자, 법사이자, 의사이다. 2009년 8월초에 70년만에 개기일식이 있었다. 하지만, 진평왕 시기에 일식은 있었을까? 물론, 일식도 없었고, 월식도 없었다. 당시의 일식이 있던 시기를 뽑아 본다면 다음과 같다. 삼국.. 더보기
선덕여왕, 위천제 미실 일식은 정말 있었나? 선덕여왕에서는 미실이 사다함의 매화(가야의 역법)과 수나라 사신단을 따라온 장대인으로 부터 많은 황금을 주고 산 대명력으로 일식을 예측하고 일식을 맞춥니다. 위천제를 하면서 미실은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는 도구로 사용합니다. 게시를 받았다는 미실이 위천제를 하자 일식 있습니다. 일식이 되는 때를 기다려 위천제를 올리는 상황입니다. 당시 신라에 일식을 예측할 만한 천문학이 있었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일식을 맞춘때는 조선의 세종때이니 말입니다. 어찌되었던 일식이 나타나자 신라인들은 사색이 되어 버립니다. 하지만 미실은 날씨도 잘 맞춘다고 합니다. 하지만 역서로는 기후(날씨)를 맞출수는 없습니다. 천문의 위치를 알 수 있을 뿐이지요. 기후학도 천문에서 갈라진 한 지파에 불과하니 기후를 예측할만 내용은 있었을.. 더보기
선덕여왕, 위천제 미실 일식은 정말 있었나? 선덕여왕에서는 미실이 사다함의 매화(가야의 역법)과 수나라 사신단을 따라온 장대인으로 부터 많은 황금을 주고 산 대명력으로 일식을 예측하고 일식을 맞춥니다. 위천제를 하면서 미실은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는 도구로 사용합니다. 게시를 받았다는 미실이 위천제를 하자 일식 있습니다. 일식이 되는 때를 기다려 위천제를 올리는 상황입니다. 당시 신라에 일식을 예측할 만한 천문학이 있었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일식을 맞춘때는 조선의 세종때이니 말입니다. 어찌되었던 일식이 나타나자 신라인들은 사색이 되어 버립니다. 하지만 미실은 날씨도 잘 맞춘다고 합니다. 하지만 역서로는 기후(날씨)를 맞출수는 없습니다. 천문의 위치를 알 수 있을 뿐이지요. 기후학도 천문에서 갈라진 한 지파에 불과하니 기후를 예측할만 내용은 있었을.. 더보기
막장으로 치닫는 선덕여왕 사다함이 미실에 전해준 매화의 정체가 밝혀 졌다. 매화는 가야에서 사용된 '책력'이였다. 미실이 남송의 을 들여와 사다함의 매화를 결합하여 신라만의 책력을 만들려 하고 있다. 이는 곳 자신만의 세계를 구축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신라를 없애고 미실의 나라를 개국하고자 하는 의지의 표현이며, 천제가 되고 싶은 욕망의 상징이다. 그 만큼 책력은 중요하다. 칭제를 한 신라는 신라 나름의 책력이 있었을 것으로 생각한다. 그렇지 않다면, 칭제를 할 수 없고, '연호'를 만들 수 없기 때문이다. 대명력은 무엇일까? 잠시 살펴보자. 대명력(大明曆) 남북조의 송(宋)나라 대명(大明) 6년(462)에 조충지에 의해 완성되었다. 1회귀년의 길이를 365.2428일로 정하였는데 이는 현대의 측정치와 약 0.0006일, 즉.. 더보기
막장으로 치닫는 선덕여왕 사다함이 미실에 전해준 매화의 정체가 밝혀 졌다. 매화는 가야에서 사용된 '책력'이였다. 미실이 남송의 을 들여와 사다함의 매화를 결합하여 신라만의 책력을 만들려 하고 있다. 이는 곳 자신만의 세계를 구축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신라를 없애고 미실의 나라를 개국하고자 하는 의지의 표현이며, 천제가 되고 싶은 욕망의 상징이다. 그 만큼 책력은 중요하다. 칭제를 한 신라는 신라 나름의 책력이 있었을 것으로 생각한다. 그렇지 않다면, 칭제를 할 수 없고, '연호'를 만들 수 없기 때문이다. 대명력은 무엇일까? 잠시 살펴보자. 대명력(大明曆) 남북조의 송(宋)나라 대명(大明) 6년(462)에 조충지에 의해 완성되었다. 1회귀년의 길이를 365.2428일로 정하였는데 이는 현대의 측정치와 약 0.0006일, 즉..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