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찬 썸네일형 리스트형 선덕여왕, 정말 월야의 복야운동은 사실일까? 드라마 선덕여왕에서 복야의 수장 월야(주상욱)을 대가야의 마지막 왕이라고 알려진 이뇌왕의 아들인 월광태자(도설지왕)의 적자이자, 장자라고 한다. 그렇다면 월야의 아버지인 월광태자는 누구의 자식일까? 삼국사기의 기록을 우선 따라가 보자. 9년(522) 봄 3월에 가야국 왕이 사신을 보내 혼인을 청하였으므로, 왕이 이찬 비조부(比助夫)의 누이를 그에게 보냈다. - 삼국사기 신라 법흥왕 9년 522년 이 당시 대가야의 왕이 누구인지는 알 수 없다. 단지, 비조부의 누이랑 결혼했다는 기록이다. 그런데, 이 비조부의 이름이 심상치가 않다. 비조부는 화랑세기에 문노(비조부/문화)의 아버지로 기록하고 있다. 그래도 정확히 대가야의 왕이 누구인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통설에 의하면 이때의 왕의 이름이 대가야 9대 이.. 더보기 선덕여왕, 정말 월야의 복야운동은 사실일까? 드라마 선덕여왕에서 복야의 수장 월야(주상욱)을 대가야의 마지막 왕이라고 알려진 이뇌왕의 아들인 월광태자(도설지왕)의 적자이자, 장자라고 한다. 그렇다면 월야의 아버지인 월광태자는 누구의 자식일까? 삼국사기의 기록을 우선 따라가 보자. 9년(522) 봄 3월에 가야국 왕이 사신을 보내 혼인을 청하였으므로, 왕이 이찬 비조부(比助夫)의 누이를 그에게 보냈다. - 삼국사기 신라 법흥왕 9년 522년 이 당시 대가야의 왕이 누구인지는 알 수 없다. 단지, 비조부의 누이랑 결혼했다는 기록이다. 그런데, 이 비조부의 이름이 심상치가 않다. 비조부는 화랑세기에 문노(비조부/문화)의 아버지로 기록하고 있다. 그래도 정확히 대가야의 왕이 누구인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통설에 의하면 이때의 왕의 이름이 대가야 9대 이.. 더보기 사기.유사.세기 비교해보니 천명 천수를 누렸다? 신라사회를 재현을 목표로 만들어진, mbc 명품 사극 드라마 선덕여왕에서는 천명을 당나라가 서기전, 수나라 시기인 618년 이전에 죽은 것으로 설정하였다. 그렇다면, 실제 기록에는 천명은 언제 죽었을까? 결론을 말하면 언제 죽었는지는 삼국사기, 삼국유사, 화랑세기 공히 기록하지 않고 있다. 다만, 이들 기록들을 토대로 언제까지 살아있었는 지는 유추해 볼 수 있다. 일단, 현존 화랑세기의 기록을 토대로 천명이 언제까지 살아있었는지를 추적하고,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통해서 천명이 언제까지 생존해 있었는지를 추적해 볼 생각이다. 이전 시리즈 글을 본사람이라면 천명이 언제까지 살아 있었는지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 화랑세기에 기록된 천명의 수명 화랑세기의 13세 풍월주 용춘 (596~603)의 기록에 의하면 용.. 더보기 사기.유사.세기 비교해보니 천명 천수를 누렸다? 신라사회를 재현을 목표로 만들어진, mbc 명품 사극 드라마 선덕여왕에서는 천명을 당나라가 서기전, 수나라 시기인 618년 이전에 죽은 것으로 설정하였다. 그렇다면, 실제 기록에는 천명은 언제 죽었을까? 결론을 말하면 언제 죽었는지는 삼국사기, 삼국유사, 화랑세기 공히 기록하지 않고 있다. 다만, 이들 기록들을 토대로 언제까지 살아있었는 지는 유추해 볼 수 있다. 일단, 현존 화랑세기의 기록을 토대로 천명이 언제까지 살아있었는지를 추적하고,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통해서 천명이 언제까지 생존해 있었는지를 추적해 볼 생각이다. 이전 시리즈 글을 본사람이라면 천명이 언제까지 살아 있었는지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 화랑세기에 기록된 천명의 수명 화랑세기의 13세 풍월주 용춘 (596~603)의 기록에 의하면 용.. 더보기 덕만의 사라진 남자형제들 ???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는 나오지 않는 진평왕의 아들들에 관한 글이 될겁니다. 칠숙,비담,흥원이 반란을 하는 이유 진위 논란의 한가운데 있는 에는 진평왕에게는 최소한 4명의 아들들 즉 왕자들이 보인다. 이들 왕자의 후손들 중에 681년 흠돌 반란에 동참이 아닌 주도적으로 정통성 회복을 시도한 인물도 있다. 이때, 김유신과 김흠순 가문도 이에 연루가 되어 역사에서 사라질뻔한 위기를 겪는다. 그러나. 삼국유사의 김유신이 김미추의 능에 나타나서 쇼를 하는 바람에 위기를 넘기고 역사의 기록으로 남을 수 있었다고 삼국유사는 기록하고 있다. 이에 대한 이야기는 별로의 기사가 될 것이다. 이번 글은 [역사이야기] - 미실의 충복 칠숙, 사실은 왕위 계승 일순위자 칠숙이 반란을 일으킬 수 밖에 없었던 이유에 대해서 송고한.. 더보기 덕만의 사라진 남자형제들 ???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는 나오지 않는 진평왕의 아들들에 관한 글이 될겁니다. 칠숙,비담,흥원이 반란을 하는 이유 진위 논란의 한가운데 있는 에는 진평왕에게는 최소한 4명의 아들들 즉 왕자들이 보인다. 이들 왕자의 후손들 중에 681년 흠돌 반란에 동참이 아닌 주도적으로 정통성 회복을 시도한 인물도 있다. 이때, 김유신과 김흠순 가문도 이에 연루가 되어 역사에서 사라질뻔한 위기를 겪는다. 그러나. 삼국유사의 김유신이 김미추의 능에 나타나서 쇼를 하는 바람에 위기를 넘기고 역사의 기록으로 남을 수 있었다고 삼국유사는 기록하고 있다. 이에 대한 이야기는 별로의 기사가 될 것이다. 이번 글은 [역사이야기] - 미실의 충복 칠숙, 사실은 왕위 계승 일순위자 칠숙이 반란을 일으킬 수 밖에 없었던 이유에 대해서 송고한.. 더보기 물대포에서 '대포'의 유래는 촛불집회에 시위자를 분산시키는 용도로 등장하는 물대포가 있다. 그런데 왜 물을 쏘는 대포라고 했을까? 물총에 가까운것 같은데 어찌되었던 이는 예전 포석에서 유래를 찾을 수가 있다. 돌덩이를 모아서 성벽을 무너트리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발포하라', '방포하라'는 발석차나 포석 등이 속한다. 그런데 물대포 처럼 '물'이 아닌 '술'에서 유래한 도 있다. 요즘 사람은 대포집하면 를 연상해서 커다란 포(화약 포)로 생각할 것이다. 하지만 대포에는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커다란 포탄을 날리는 공격무기로 알고 있지만 조금 나이를 든 어른들은 아련히 입맛을 다시고 추억을 떠오르는 선술집을 떠울린다. 란 커다란 술잔을 뜻하는 말이다. 커다란 술잔의 크기가 어느정도인지는 알 수 없으나 일반적으로 정도의 크기이다. 최근에.. 더보기 물대포에서 '대포'의 유래는 촛불집회에 시위자를 분산시키는 용도로 등장하는 물대포가 있다. 그런데 왜 물을 쏘는 대포라고 했을까? 물총에 가까운것 같은데 어찌되었던 이는 예전 포석에서 유래를 찾을 수가 있다. 돌덩이를 모아서 성벽을 무너트리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발포하라', '방포하라'는 발석차나 포석 등이 속한다. 그런데 물대포 처럼 '물'이 아닌 '술'에서 유래한 도 있다. 요즘 사람은 대포집하면 를 연상해서 커다란 포(화약 포)로 생각할 것이다. 하지만 대포에는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커다란 포탄을 날리는 공격무기로 알고 있지만 조금 나이를 든 어른들은 아련히 입맛을 다시고 추억을 떠오르는 선술집을 떠울린다. 란 커다란 술잔을 뜻하는 말이다. 커다란 술잔의 크기가 어느정도인지는 알 수 없으나 일반적으로 정도의 크기이다. 최근에.. 더보기 이전 1 다음